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798.jpg
KCI등재 학술저널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특징과 전개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Bronze Age Tombs in the Hoseo Region

  • 56

본 논문에서는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시간상, 분포상 변이를 살피기 위해 일제강점기 이래 현재까지 조사·연구된 무덤 자료를 집대성하여 입지와 경관 특징, 분포와 밀도, 내·외부 구조, 부장유물 등 기초 자료를 요약·정리하였다. 외견과 내부구조에 기초하여 각 무덤을 관찰하고 분류한 결과, 단위 지역별 무덤의 분포상 특징을 변별할 수 있었다. 시간 흐름에 따른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 물질문화의 상이성과 상사성은 무덤 종류별 분포 및 변천과정과 직접적으로 결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무덤 상·하부 구조의 변이, 출토 토기·석기의 상대편년, 유적 간 교차편년, 방사성탄소연대를 종합한 결과,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은 기원전 11세기 전반 즈음 축조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의 무덤은 독립적인 입지에 단독 또는 소규모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 기본적으로 취락과 거리를 둔 공간에 무덤을 축조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주거역과 인접하여 조성된 사례도 있는 것으로 보아 각 영역을 완전히 분리한 취락 설계가 보편화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의례 및 무덤 공간으로서의 경관의 정립은 전기 후반 늦은 시점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순차적으로 조영되는 석관묘군과 지석묘군의 분포 특징은 이러한 변화상을 반영한다. 수도작 농경이 본격화 되는 중기 이후에는 분묘 공간의 사회적 기능이 더욱 증대되면서 애초 주거·생산·저장시설 등이 설비된 생활 영역과의 분리를 염두에 둔 취락 설계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송국리형묘제가 새로운 매장시스템으로 등장하며 대규모 집단묘역 내에는 거석 기념물, 의례 복합시설 등이 구축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es over time of the Bronze Age tombs in the Hoseo region by reviewing the location, landscape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density, internal-external structures, and burials of the tomb data investigat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result of classifying each tomb based on the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al features,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tombs were confirmed by region.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material cultures from the early period to the middle period of the Bronze Age in the Hoseo area are linked to the type, distribu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tombs. The results of synthesizing the vari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tructures of tombs, the relative chronology of pottery and stone tools, the intersecting chronology between sites, and the radiocarbon dating are as follows. The Bronze Age tombs in the Hoseo region began to be built around the early point of the 11th century BC. Early tombs were distributed alone or in small scale in an independent location, and were basically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settlemen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living space and the tomb space. However, spaces for rituals and tombs began to be created separately from the late point of the late Early period, when the stone cist tombs and dolmens began to cluster in sequence. From the Middle period when rice farming began to be intensified, the social function of the tomb space was further increased, and the settlement wa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separation from the living area where residential, production, and storage facilities were built. In addition, as the Songgukri type tomb emerged as a new burial system, megalithic monuments and ritual complex facilities were built within a large-scale collective graveyard.

Ⅰ. 머리말

Ⅱ. 청동기시대 무덤의 분포와 조사

Ⅲ. 청동기시대 무덤의 종류와 특징

Ⅳ. 청동기시대 무덤의 편년과 전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