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제주도 용암숲 곶자왈에 자라는 몇 종 식물의 분류학적 주해

Taxonomic Notes of Some Plants Species Growing in Lava Forest ‘Gotjawal’ in Jeju Island, Korea

  • 106
155668.jpg

제주도 내에는 제주도 면적의 6.1%(113.3㎢)에 해당하는 용암숲 곶자왈이 있다. 이 곳은 화산활동으로 형성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모암의 이화학적 특성의 다양성과 위치에 따른 기후요소의 다양성으로 분포식물도 다양하다. 더구나 이 일대에서 최근까지도 빌레나무, 곳섬잔고사리, 낫쇠고사리, 주걱비름, 큰톱지네고사리, 우단석위 등 아열대성종들이 지속하여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이 종들이 기후 변화에 따른 제주도 생태계 변화의 지표종일 수 있다는 점에서 곶자왈에 관한 관심을 더욱 높이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곶자왈을 주목받게 하는 관속식물에 대해서 저자에 따라 학명을 다르게 인용하거나 분포역에 대한 정보에 일관성이 없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보이는 7종에 대해 그 분류학적 실체를 검토하여 바로 잡았다. 본 논문에서 검토한 종은 완도호랑가시나무(Ilex × wandoensis C.F. Miller & M. Kim), 약난초(Cremastra appendiculata (D. Don) Makino var. variabilis (Blume) I. D. Lund), 두잎감자난초 (Oreorchis coreana Finet), 으름난초(Cyrtosia septentrionalis (Rchb. f.) Garay), 한라천마(Gastrodia verrucosa Blume), 한라새둥지란(Neottia kiusiana T. Hashim. & S. Hatus.), 대흥란(Cymbidium macrorhizon Lindl.)등이다.

Lava forest ‘Gotjawal’ is 6.1% (113.3㎢) in the area of jeju island. It was formed volcanic activity. There are diverse of the distributed plants due to diversity of basal rocks and the factors of weather by regions. Subtropical species such as Maesa japonaca (Thunb.) Moritzi & Zoll, Diplazium nipponicum Tagawa, Arachniodes simplicior var. simplicior (Makino), Sedum tosaense Makino, Dryopteris dickinsii (Franch. & Sav.) and Pyrrosia davidii (Baker) have been continuously reported in this area until recently. Since the emergences of these species become indicators of climate change, interest in ecosystem of lava forest ‘Gotjawal’ in increasing. Among the plants living in Gotjawal, scientific names are cited differently by author.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information is inconsistent in the distribution area. In this paper, we examined and corrected taxonomic truths for 7 species. The species reviewed in this paper are Ilex × wandoensis C.F. Miller & M. Kim, Cremastra appendiculata (D. Don) Makino var. variabilis (Blume) I. D. Lund, Oreorchis coreana Finet, Cyrtosia septentrionalis (Rchb. f.) Garay, Gastrodia verrucosa Blume, Neottia kiusiana T. Hashim. & S. Hatus, and Cymbidium macrorhizon Lindl.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