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차적 백내장수술에서 첫 번째 수술안 예측오차가 두 번째 수술안의 광학적 보정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irst Eye Prediction Error on Refractive Adjustment of Second Eye in Delayed Sequential Bilateral Cataract Surgery
- 대한안과학회
- 대한안과학회지
- 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2
-
2021.02207 - 215 (9 pages)
-
DOI : 10.3341/jkos.2021.62.2.207
- 이용수 2

초록
목적: 일주일 간격의 지연된 순차적 양안 백내장수술에서 첫 번째 수술안의 예측오차를 통한 두 번째 수술안의 굴절 보정 효과를 연구하였다. 대상과 방법: 일주일 간격으로 양안 백내장수술을 시행 받은 100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의 후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굴절오차는 술후 굴절력과 의도된 목표 굴절력과의 차이, 예측오차는 술 후 굴절력과 인공수정체공식(SRK-T, Hoffer-Q,Haigis)별로 계산된 예측 굴절력과의 차이로 측정하였다. 술 후 1주와 1달에 굴절력을 측정하였으며, 첫 번째 술 후 1주에 예측오차를 계산하여 크기가 0.25 diopters (D) 이상일 경우 이에 맞추어 두 번째 수술의 인공수정체 도수를 조정하였다. 술 후 1달 굴절오차의 크기를 양안에서 비교하였다. 술 후 1주에 측정한 첫 번째 수술안의 예측오차와 술 후 1달에 측정한 반대안의 예측오차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굴절오차의 크기는 두 번째 수술에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첫 번째 수술안의 굴절 오차가 0.5 D 이상인 경우에는 두 번째 안의 굴절오차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술 후 1주에 측정한 첫 번째 수술안의 예측오차와 술 후 1달에 측정한 반대안의 예측오차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r=0.483 [SRK-T], r=0.593 [Hoffer-Q], r=0.547 [Haigis]; p<0.001). 결론: 첫 번째 수술안의 굴절오차가 0.5 D보다 높은 경우, 일주일 간격의 지연된 순차적 양안 백내장수술은 두 번째 수술안의 굴절 결과를 보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refractive outcomes of second-operated eyes whose diopters of intraocular lens (IOL)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diction error (PE) of the first-operated eye in 1-week-delayed sequential bilateral cataract surgery. Methods: Medical records of 100 patients who had undergone delayed sequential bilateral cataract surgery with a 1-week interv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postoperative subjective refraction was evaluated at 1 week and 1 month after surgery. The refractive error (RE) was determined by comparing postoperative refraction with the intended postoperative refractive target. The PE was determined by comparing postoperative refraction with the predicted postoperative refraction calculated by multiple different formulae (SRK-T, Hoffer Q, and Haigis). When the PE of the first eye was outside the range of ± 0.25 diopters (D) at postoperative 1 week, selection of IOL power was adjusted to reduce the PE of the second eye. Mean numerical and mean absolute errors of RE were calculated. The correlations between PE of the first eye measured at 1 week and PE of the second eye measured at 1 month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absolute value of RE was decreased on the second operated eye, but was not significant (p > 0.05). The subgroup whose RE of the first eye was > ± 0.5 D at 1 week showed a significantly decreased mean absolute value of RE in the second eye (p < 0.05). The PE of the first eye measured at 1 week and of the second eye at 1 month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r = 0.483 [SRK-T], 0.593 [Hoffer Q], 0.547 [Haigis]; p < 0.001). Conclusions: Delayed sequential bilateral cataract surgery with a 1-week interval may enable refinement of the refractive outcome of the second operated eye when the first operated eye shows a RE >0.5 D.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0)
- 고삼투압에 노출된 각막상피세포에서 TonEBP 발현과 염증인자들에 대한 두릅의 효과
- 23게이지 미세절개유리체절제술 후 안구 표면 pH의 단기 변화
- 무증상 경동맥협착에서 관찰되는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 감소
- 건성안 환자에서 눈 깜박임에 따른 눈물막 지질층 그래프 패턴 분석
- 광주 전남 지역의 감염각막염 환자의 임상양상
-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비손상 망막 레이저 치료의 임상적 효과
- 섬유주절제술 후 안압하강이 빛간섭단층혈관촬영을 이용한 혈관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정상 소아에서 근시 진행에 따른 망막내층의 두께 변화
- 선천 긴속눈썹증
- 라식수술 후 백내장수술 시에 Shammas-PL 공식을 이용한 인공수정체도수계산
- 세 가지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중심각막두께의 비교 및 반복성 비교
- 이상 부착된 외직근을 가진 감각외사시 환자에서의 수술적 치료
- 한국인 정상안 및 선천색각이상안에서 원뿔세포대비감도의 평가
- Enterococcus faecalis의 퀴놀론 내성 유전자 변이 및 독성인자 유전자 분석
- 근거리용 탄젠트스크린검사에서 거리에 따른 시야각의 비율
- 제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들에서 관찰된 망막미세혈관이상 소견
- 덧댐굴절력 +1.5디옵터 굴절성 비구면 이중초점인공수정체의 임상결과
- 골내 해면상혈관종에 의한 코눈물관폐쇄 및 눈물주머니 낭종의 치료
- 순차적 백내장수술에서 첫 번째 수술안 예측오차가 두 번째 수술안의 광학적 보정에 미치는 효과
- 섬유주 미세우회 스텐트삽입술 실패 후 시행한 섬유주절제술의 1년 임상 성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