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KCI등재 학술저널

BCG Matrix에 의한 코스메틱 제품 시장성 진단 및 트렌드 분석

Marketability and Trend Analysis of Cosmetic Products using BCG Matrix

간행물 정보
  • 이용수 581
155915.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초록

본 연구는 코스메틱 산업의 제품별 시장성 진단 및 트렌드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BCG Matrix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데이터 수집은 코스메틱 제품군 상세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하였다. 데이터 기반 코스메틱 제품군 시장성 진단결과, 유망한 사업으로 분류되는 카테고리는‘스킨케어’, ‘바디’, ‘클렌징’이다. 데이터 기반 고성장 제품군 월별 온라인시장 트렌드 분석 결과, ‘스킨케어’ 카테고리 內 성장률이 높은 카테고리는 ‘세럼’과 ‘올인원’이다. 특히 ‘세럼’의 경우미세먼지나 COVID-19 등 외부 환경요인으로 인해 자극받는 피부 관리에 대한 소비자 니즈가증가함에 따라, ‘속보습’, ‘잡티’ 등을 케어할 수 있는 세럼이 주목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디’ 카테고리 內 성장성이 큰 카테고리는 ‘바디로션’ 및 ‘핸드크림’이다. 또한 ‘클렌징’ 카테고리 內 성장성이 큰 카테고리는 ‘클렌징폼’ 및 ‘립앤아이리무버’다. 이 또한 COVID-19로 인해 급상승한피부 세정 및 세안에 대한 소비자 니즈가 높아진 결과로 볼 수 있다. 연구결과는 산업적으로는코스메틱 시장의 성장과 확장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를 지니며, 코스메틱 제품의 계절별, 월별트렌드 변화를 예측하고 있어서 기업의 시장성 판단 및 비즈니스 전략의 마련에 유의미하다고본다.

This study analyzed marketability diagnosis and trend changes for each product in the cosmetics industry. The analysis was done using BCG Matrix, and the data collection was based on the detailed category of the cosmetics family. The diagnosis of the marketability of data-based cosmetic products showed that the categories classified as promising businesses are “skincare,” “body,” and “cleansing.” The analysis of monthly online market trends in high-growth products showed that the categories with high growth rates in the category of “skincare” are “serum” and “all-in-one.” In particular, serum, which helps with “moisturizing” and treating “blemishes,” has attracted attention due to growing consumer needs for skincare, which is stimulat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ine dust and COVID-19. The subcategories with high growth rates in the category of “body” are “body lotion” and “hand cream.” The subcategories with high growth rates in the category of “cleansing” are “cleansing foam” and “lip and eye remover.” This relates to growing consumer needs of cleansing due to COVID-19. The research results are meaningful as a basis for the growth and expansion of the cosmetics market and are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marketability of the enterprise and preparing business strategies, as it predicts seasonal and monthly trends of the cosmetics produc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분석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49)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