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미술상(art prize)을 통한 국내 미술계 기업 후원(corporate art patronage)의 의미

Corporate Art Patronage Through Art Prize in Korea: An Exploratory Study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295
155915.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전 세계에 걸쳐 기업 미술상이라는 제도를 통해 기업들은 문화예술계 종사자들에 대한 재정지원에 한정된 후원자(patron)의 역할에서 벗어나 작품의 가치를 판단하는 평가에 까지도 영향을미치는 적극적 후원자로서 자신들의 역할을 재정립해가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평가제도는 예술가 명성(artistic reputation)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문화예술계 내 기업과 같은외부 민간 주체들의 이와 같은 역할 변화는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 미술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러한 제도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사회학적 관점에서 문화예술계에서 작품과 작가에 대한 평가가 갖는 의미를 예술가 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를 토대로, 기업상에 대해 실제 문화예술계 종사자들이 인식하고있는 바를 근거이론 분석방법론을 통한 탐색적 접근법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다. 구체적으로, 기업 미술상에 대해 국내 미술계 참여자와 관계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수행하고, 이를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용해 상향식(bottom-up) 접근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미술상을 통해 기업이 새로운 평가의 주체로 등장하며 국내 미술계에서 영향력을 미치는 정도를이에 대한 미술계 다양한 참여자들의 인식, 의견, 감정을 상세히 들여다봄으로써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미술계 민간에서 촉발된 ‘기업 미술상’이라는 새로운 평가 시스템이 작동하는기재를 미술계 참여자의 관점에서 탐색해 관련 후속 연구를 촉발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Through the corporate art awards system, companies around the world have reestablished their role as active patrons who have influenced the evaluation of the value of the work, apart from the role of the patron limited to financial support for the participants in the arts and culture industry. Since this new evaluation syste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artist’s reputation, such a change in the role of private actors outside the artistic field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However, researchers on these institutional changes taking place in the domestic art world have yet to pay attention to this emerging phenomenon. Thu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first considers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evaluation of artists and their work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world, focusing on its influence on the artist’s reputation. Based on this,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using an exploratory approach through a grounded theory analysis methodology and report the results of what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s in the culture and arts fields about the increasing influence of corporate art prizes. Specifically, the perceptions, opinions, and feelings of domestic art participants and related parties were grasp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se were examined using a bottom-up approach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is study sheds light on how companies emerge as a new type of corporate patron with its influence on evaluation in the domestic art world through corporate art awards and in the process of exerting their influence, thereby providing an opportunity to trigger future research on this topic.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