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916.jpg
KCI등재 학술저널

야담에서의 가문서사

계서잡록(溪西雜錄) 연구의 한 시각

  • 71

『계서잡록(溪西雜錄)』은 19세기 전반 이희평(李羲平, 1772~1839)이 편찬한 야담집으로 총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은 이희평 가문의 사적 및 그가 직접 경험했던 일과 지방관으로 재임 시에 들었던 이야기를 기록한 것으로, 이는 세간에 전해 오는 이야기를 모은 2~4권과는 그 성격이 확연히 다르다. 집안의 사적을 1권에 배치한 것에 주목해 보면, 이희평은 그는 야담집 편찬에 있어서 가문서사를 기록하는 것을 중요시했음을 알 수 있다. 『계서잡록』은 이와 같이 기록자의 家史를 포함하여 편찬된 야담집이며, 그 家史의 분량이 전체 야담집의 1/4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이러한 특징은 현존하는 야담집 중에서 이희평의 『溪西雜錄』이 유일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이 주목받지 못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溪西雜錄』 1권을 중심으로 하여 가문서사로서의 『溪西雜錄』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야담 연구의 한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Gyeseojabrok, a historical storybook compiled by Lee Hee-pyeong (李羲平, 1772~1839)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is composed of a total of four volumes. Volume one is a record of Lee Hee-pyeong’s family history, his personal experiences, and the stories he heard during his tenure as a local official. This volume is distinctly different in character from volumes two to four, which consists of stories based on legends from the distant past. Considering that Lee Hee-pyeong placed his family history in the first volume, it is clear that he valued his family record narration in the compilation of the historical storybook. Gyeseo󰠀jabrok is a historical storybook compilation that also includes the recorder’s family history, and this family history is of such importance that it accounts for approximately a quarter of the book. Only Lee Hee-pyeong’s Gyeseojabrok has this characteristic among the extant unofficial historical storybooks, but this aspect was not considered important in the previous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yeseojabrok as a family narration, focusing on volume one, and suggest directions for the study of Yadam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1. 서론

2. 이희평의 가계와 『계서잡록』

3. 『계서잡록』의 가문서사로서의 특징

4. 결론: 야담에서의 ‘가문서사’의 의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