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918.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강 하류 분구묘 부장 토기의 변화와 의미

The Change and Meaning of Earthenware Buried in the Bungu Tombs Lower of the Han River

  • 275

본 논문에서는 한강 하류, 지금의 인천, 김포, 파주, 시흥 등에 분포한 원삼국~삼국시대 분구묘 부장 토기를 편년하고 이를 통해 토기 부장 정형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3~4세기대 한강 하류 분구묘와 한강 중류의 석촌동 고분군과의 부장 토기 비교를 통해 부장 전통의 친연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강 하류 분구묘 및 목관⋅목곽묘 부장 토기는 원저단경호의 형식 변화와 타 기종과의 시간상 병행 관계를 기준으로 5단계로 세분하였는데, 한강 하류 분구묘 Ⅰ기(2세기 중엽~후엽)는 원저단경호만이 부장되는 단계, 한강 하류 분구묘 Ⅱ기(3세기 전엽)는 백색토기 옹, 원저소호, 단경평저호, 소호 기종이 처음 부장되는 단계, 그리고 한강 하류 분구묘 Ⅲ기(3세기 중엽~후엽)는 직구평저호와 완이 추가 부장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또한 한강 하류 분구묘 Ⅳ기(3세기 말~4세기 초)는 완의 부장 사례가 증가하고 이중구연호, 단경호, 합 기종이 새로운 부장되는 단계이며, 마지막 한강 하류 분구묘 Ⅴ기(4세기 전엽~말)는 이전의 원저단경호, 완, 단경호 기종과 함께 직구단경호가 부장되는 단계이다. 한강 하류의 토기 부장 정형은 특정 기종의 세트 부장이 확인되지 않으며, 토기의 복수 부장도 Ⅲ기 이후에야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경기 남부 주구토광묘 토기 부장 정형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Ⅲ기의 토기 부장 정형은 석촌동 고분군 하층 토광묘 단계와 유사할 뿐만 아니라 원저단경호, 단경평저호, 직구평저호 등의 부장 토기 기종에서도 공통점이 발견되기 때문에 토기 부장 전통을 서로 공유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Ⅳ기 이래로 한강 하류에서는 이중구연호가 집중적으로 부장되는 등의 변화가 보이며, 석촌동 고분군에서는 백제 국가의 출현과 함께 새로운 묘제가 등장하고 백제토기가 부장되면서 독자적인 토기 부장 전통을 보이기 때문에 두 지역의 토기 부장 전통은 점차적으로 분리되어 갔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ronology of the earthenware buried in the Bungu Tombs lower of the Han River from Proto-Three Kingdoms through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consider the process of change of buried pattern of earthenware through the chronology. The paper also investigated the dynamics of the two local political bodies locate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by comparing Bungu Tombs downstream of the Han River in the 3rd and 4th centuries with Seokchon-dong burial sites in the middle part of the Han River. As a result, the paper divides the earthenware buried in the Bungu Tombs downstream of the Han River and wooden coffin &wooden chamber tombs into five stages based on the formal change of round-based jar with a short neck, and parallel temporal relationship with other types of earthenware. They are as follows: stages I(the mid-to-late 2nd century), stage II(first half of the 3rd century), stage III(the mid-to-late 3rd century), stage Ⅳ(late 3rd to early 4th century), stage Ⅴ(first half to end of the 4th century). The burial pattern of earthenwar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differs from that of earthenware from Pit-tombs with ditch southern Gyeonggi, given that burial of certain types of earthenware in a batch has not been identified, and that multiple burials of the earthenware have only begun after the stage III. This earthenware burial pattern in the third phase is similar to the pit tombs in the lower level of the Seokchon-dong burial site, and standard features are also found in the buried earthenware type. It also noted the alliance relations between the two local political bodies locate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as a background of sharing this tradition of earthenware burial. Since stage IV, new tombs in the Seokchon-dong burial site have emerged, and Baekje earthenware has been buried, establishing its tradition of earthenware burial. However, they seem to have tried to strengthen their ties with Mahan forces in southern Chungcheong Province, given that the Pottery with the two-fold mouth was intensively buried in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This aspect is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conflict and rivalry between the two local political bodies in the Han River s middle and lower reaches. However, in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which was the stage V, the Bungu Tomb is observed to be disappearing in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which was the result of Baekje s territorialization of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a trade gateway with China, for trade with China during its growth.

Ⅰ. 머리말

Ⅱ. 한강 하류 분구묘 유적과 부장 토기

Ⅲ. 부장 토기의 편년

Ⅳ. 분구묘 토기 부장 정형과 석촌동 고분군과의 비교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