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TO/TBT 제품인증획득이 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동적역량과 마케팅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이양기(Yang-Kee LEE) 강봉주(Bong-Ju KANG)
- 한국경제통상학회
- 경제연구
- 經濟硏究 第39卷 第1號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02
- 137 - 160 (24 pages)
본 연구는 수출 지식의 흐름을 촉진하는 사회적 자원인 WTO/TBT 적합성 평가체계를 기반으로 한 제품인증획득이 기술동적역량과 마케팅역량의 조절효과를 매개하여 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수출 기업의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야별 수출업체(건설, 화학공업, 에너지, 조선, 발전, 플랜트, 원전)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SPSS 통계를 활용한 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품인증획득과 자원기반이론에 근거한 기업내부의 RBV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섯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제품인증이 기술역량을 매개하여 수출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제품인증이 마케팅 역량을 매개하여 수출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기업의 기술역량은 수출성과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기업의 마케팅역량은 조절효과를 적용하여 수출성과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동적역량을 매개한 제품의 인증획득은 기업의 수출성과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roduct certification acquisition based on the WTO/TBT conformity assessment system, which is a social resource that promotes the flow of export knowledge, on the export performance of companies by mediating the modul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dynamic capabilities and marketing capabilities. Thus, the satisfaction level of export companies was identifi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export companies by field (construction, chemical industry, energy, shipbuilding, power generation, plant, nuclear power plant), and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dditi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certification acquisition and internal RBV based on resource-based theory was empirically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product certification mediated technical competence an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xport. Second, product certification mediated marketing capabilities an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expor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가설설정과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