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그라미그림노래놀이를 활용한 유아통합교육 사례
The case study of Integr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utilizing 15 one circle-drawing song play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1권 5호
-
2021.03837 - 857 (21 pages)
-
DOI : 10.22251/jlcci.2021.21.5.837
- 35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에게 친숙한 동요 ‘열 꼬마 인디언’의 멜로디에 노랫말을 바꾸어 부르는 ‘돼지그리기노래’에 의한 ‘동그라미그림노래놀이’ 15곡을 활용한 유아통합교육 사례를 예시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놀이중심의 창의적인 통합교과교육 자료로 적용할 수 있는 유치원 종일반 프로그램으로 제시하는 데에 있다. 현장적용 수업은 2년여의 연구기간(2018. 12.~2020. 12)에 남양주시 소재의 A유치원 종일반 3개 반(만5·6세 통합)을 대상으로 8주간 실시되었다. 이론적으로 기본용어의 개념정의와 교수·학습 내용을 단계별로 탐색하고, 활동방법과 활동결과물을 중심으로 동그라미그림노래놀이를 활용한 유아통합교육을 위한 수업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로써 유치원 종일반 프로그램으로 현장 적용을 위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의 근거는 확보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유아발달적인 면에서 대다수의 유아들이 노래를 부르며 그림그리기를 잘 할 수 있었으나, 만5세 유아 중에 노래를 부르며 동시에 그림그리기에 교사의 도움을 요청하거나, 동물 모양의 방향 바꾸어 그리기를 어려워하는 경우가 있어, 후속연구에서 다루어져야 할 사항이며, 또한 다른 그림노래놀이의 활용으로 확대되어야 할 연구과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emplify the case of integr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utilizing 15 pieces of ‘One circle-drawing song play’ by ‘Pig dawing song’, which is sung by changing the lyrics to the melody of the familiar nursery rhyme ‘Ten Little Indians’. It is to present it as a full-day kindergarten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as a play-oriented creative integrated curriculum education material. The field application classes are presented as a full-time kindergarten program located in Namyangju during the two-year study period(2018. 12.-2020. 12). Theoretically, the concept definition of basic terms and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were searched step by step, and the significance of lessons for integrated education for children using ‘One circle-drawing song play’, centered on activity methods and activity outcomes, was examined.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basis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field application as a full-day kindergarten program have been secured. However, in terms of child development levels, the most children were able to sing and draw well, but among children aged 5 years old, they sang songs and at the same time asked for the help of a teacher to draw. In some cases, this should be addressed in subsequent studies. In addition, a plan to expand the materials used to other drawing song plays remains a research project.
Ⅰ. 서론
Ⅱ. 유아통합교육 사례
Ⅲ.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