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과학소설 대상 강좌의 실제 운영에 대한 연구의 한 부분으로 계명대학교의 과학소설 관련과목인 <과학소설(SF)로 떠나는 상상여행> 에서 실시한 과학소설 쓰기 활동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과학소설의 상상력은 현실에서 볼 수 없는 막연한 것이면서도 현실적 논리를 포함하는 것일 필요가 있으며, 직접 과학소설을 쓰는 활동은 이런 과학소설의 서사적 특성을 배우고 서사적인 글의 구성을 배울 수 있는 활동이기도 하다. 특히 본 활동은 디자인 씽킹의 5가지 프로세스를 적용하였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아이, 로봇』 단편집의 서사 구조를 파악하고, 로봇 이야기에 대한 영감을 얻고,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아이디어 발상, 이야기 구술, 조원들에게 피드백을 받는 활동을 거치면서 과학소설을 쓰게 하였다. 학기초와 학기말의 과제물 제출에 맞춰 실시한 두 번의 설문결과 분석에 의하면, 학습자는 이 활동을 통해 과학소설의 서사구조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과학소설 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고 상상력을 논리적 서사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평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피드백에 대한 보강과 비교분석에 대한 다각적 접근 등의 보강연구 역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concerns a short, science fiction writing activity tailored to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s a part of the case study about a science fiction related course. In “Imaginary Journey to Science Fiction (SF)”, a science fiction related course at Keimyung University, students write a science fiction short story on their ow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fiction and narrative writing in general. This activity is organized in connection with the Design Thinking processes by emphasizing stories involving robots, along with brainstorming, drawing their robots, sharing feedback, etc. Science fiction creates an alternative world where even the strange and unknown become possible through the addition of scientific logic. In other words, the imaginative aspect of science fiction makes it possible for writers to create an unrealistic world that still follows the ironclad rules of realistic logic. This writing activity helps students to learn this unique characteristic of science fiction firsthand. In particular, this activity proceeded according to the 5 Design Thinking processes, using the I, Robot narrative implemented by the prolific and legendary science fiction writer Isaac Asimov. By comparing two surveys, one of which we gave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the other one at the end of the semester, we were able to see that this activity worked well to achieve our goals of helping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not only certain characteristics peculiar to science fiction writing, but also its narrative drive. However, more feedback and further study regarding this activity using different survey methods are also still required.
1. 머리말
2. 과학소설 쓰기에 관한 이론과 디자인 씽킹의 개념
3.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적용한 과학소설 쓰기 활동의 설계
4. <나의 로봇 이야기> 쓰기에 관한 분석
5.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