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원격진료 처방에 의한 의약품 배달앱 시스템 운영체계 개발

Development of Medicine Delivery App Operating System by Telemedicine-based Prescription

  • 246
155954.jpg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원격진료제도가 도입될 경우, 약국에서 조제된 의약품이 배달앱 시스템을 통해 환자에게 배달될 것이다. 원격진료 시스템에서 환자용 단말기에서 환자 정보를 입력과 진료병원을 선정하게 된다. 병원은 환자가 입력한 정보에 의해 원격진료를 수행하고, 처방전을 약국용 단말기로 발송한다. 약국은 약국용 단말기에서 등록된 정보에 의해 의약품을 조제하여 환자용 단말기에 조제 내역 및 배달 의향서를 발송한다. 환자용 단말기로부터 배달요청이 있을 경우, 약국에서는 배달플랫폼에 배달요청을 한다. 지정된 배달자는 약국에서 의약품을 인수인계 받아 환자에게 배달하고 환자용 단말기 및 배달자용 단말기에 배달완료 정보를 전송하면 된다. 현재는 음식배달 및 공산품 통신판매 부문에 배달서비스가 이미 사회문화로 정착이 되어 있어, 배달업이 세분화, 발전되면서 독거노인 및 원거리 병원을 왕래하는 환자들에게는 매우 유익한 의약품 배달앱 시스템이 될 것이다.

If the full-fledged telemedicine system is introduced in Korea, medicines prepared by pharmacies would be delivered to patients through a delivery app system. The telemedicine system puts patients’ information into the devices for patients and selects hospitals. The hospitals conduct telemedicine based on the information entered by patients and send prescriptions to the devices for pharmacies. The pharmacies prepare medicines based on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devices for them and send the details of preparation and letters of intention for delivery to the device for patients. If delivery is requested by the devices for patients, pharmacies ask delivery platforms to deliver medicines. Designated deliverers take over medicines from the pharmacies and deliver them to patients, and then, should send the information of delivery completion to both devices for them and patients. The delivery service is already established as a social culture in the sectors of food delivery and mail-order sale of industrial goods, so the medicine delivery app system would be very beneficial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outpatients who should visit remote hospitals, if delivery apps are sub-divided and developed.

Ⅰ. 서론

Ⅱ. 시스템의 개요

Ⅲ. 의약품 배달앱 시스템의 구성도 및 흐름도

Ⅳ.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