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010.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분석

Analyzing the Practicality of Education Research: Focused 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181

그동안 교육학 연구에서 현장성 확보에 대한 공감은 있어왔지만, 관련된 논의들이 문헌고찰을 통한 추론적 연구 내지는 규범적 논거를 제시하는 수준으로 다루어져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교육학 연구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현장성을 확보해왔지만, 연구 분야별로 현장성을 충족하는 수준은 달랐다. 연구단계별 현장성 정도를 살펴보면, 투입 단계의 ‘연구주제와 문제의식의 현장성’은 강했지만, 과정 단계의 ‘연구방법 및 절차의 현장성’과 산출 및 환류 단계의 ‘연구결과의 현장 적용 가능성’은 약했다. 교육학 연구 분야에 따른 연구단계별 현장성 정도는 각기 달랐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제고를 위한 노력방향을 ① 교육 현장의 문제에 대한 지속적 논의, ② 교육학 연구 분야별로 현장 개선을 위한 실행 방안 구상, ③ 현장 자료 및 경험적 접근방법 등을 동원한 문제 접근 및 실천연구 수행 ④ 교육학 연구자들의 연구단계별 현장성 확보를 위한 관심 환기 등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practicality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practicality of education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Education studies have secured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practicality, but the level of satisfying the practicality of each research field was different. In terms of research stage, the ‘practicality of research subject and problem consciousness’ at the input stage was strong, but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practicality at the process stage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field at the output and feedback stage were weak. Each research field’s degree of practicality was different.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efforts to improve education research as the followings: ① to discuss practicality issues in the education field continually ② to conceive of implementation plans for field improvement by field of education research, ③ to approach problems using field data and empirical approach, to conduct action research, ④ to call attention of education researchers to secure practicality at each stage of research

Ⅰ. 서 론

Ⅱ. 본 론

Ⅲ. 분석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