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이 연구는 일본 규슈와 한국간의 무역실태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은 규슈와 한국간의 기계제품 무역에 한정하여 전개하고자 한다. 그것은 규슈와 한국간의 무역에서 일반기계, 전기기기, 운송용기기 등 기계제품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논문구성/논리: 일본 규슈는 지리적으로 한국 및 중국과 가깝고 동아시아 지역의 중간에 위치하여 인적뿐 아니라 문화·예술분야에서도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무역을 통한 경제교류는 아시아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규슈는 아시아에서 중국과의 무역규모가 크지만, 전국대비 수출과 수입의 비중은 한국이 더 높다. 2019년 규슈의 대한국 수출은 전국비율로 살펴보면 운송용기구 84.9%, 반도체 등 전자부품 62.3%, 전지 51.4%, 일반기계 23.4%, 철강 20.9%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이 한국으로의 반도체 등 전자부품 수출이 규슈지역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규슈와 한국간의 무역실태 분석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과: 규슈와 한국간의 기계제품 무역에 한정하여 무역실태를 분석하였고,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슈의 대한국 수출은 제조업 중간재 부품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거래 품목은 반도체 등 제조장치의 일반기계와 반도체 등 전자부품의 전기기기 비중이 높다. 2019년 규슈의 대한국 일반기계와 전기기기를 합하면 규슈 수출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규슈의 대한국 수입 품목은 원재료가 많다. 한국으로부터 철강과 원유 및 석유제품이 수입되고, 이들 재화는 전체 규슈 수입의 23%를 차지하고 있다. 셋째, 무역수지의 불균형이 확대되고 있다. 규슈의 대한국 수출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지만, 대한국 수입이 변함이 없어 결과적으로 수출초과의 무역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독창성/가치: 이 연구는 지역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무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미시적 관점에서 지역경제를 바라보고 규슈지역의 도시화 과정에서 무역실태를 파악하여 한국과의 무역 관계를 전망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ate of trade between Kyushu (in Japan) and South Korea. This is because machine products such as general machines, electrical equipment,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take up large proportions of the trade between Kyushu and South Korea. Composition/Logic: Kyushu, Japan is geographically close to South Korea and China,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East Asian region. Accordingly, cultural/artistic as well as personal exchanges are actively made. The economic exchanges through trade are centered on the Asian region. It has a high rate of trade with South Korea, China, Hong Kong, and Taiwan in Asia and a high rate of importing trade with Asia and Middle Asia. Kyushu trades with China in Asia on a large scale; however, it has a higher rate of exports and imports with South Korea. In light of this, an analysis of the state of trade between Kyushu and South Korea is meaningful. Findings: This study analyzed the state of trade of machine products between Kyushu and South Kore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large proportion of Kyushu’s exports to South Korea are parts of intermediary products for manufacturing. Among the items that are traded, general machinery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s and electronic parts, such as semiconductors, take up a large proportion. The sum of Kyushu’s exports of general machinery and electronic equipment to South Korea in 2019 accounted for 40% of Kyushu’s export. Second, most items imported by Kyushu from South Korea are raw materials, including steel, crude oil, and petroleum products, and these commodities account for 23% of Kyushu’s entire imports. Third, the imbalance of trade is expanding. Kyushu’s exports to South Korea continue to increase; however, there is no change in its imports from South Korea. Consequently, Kyushu records a trade surplus with an excess of exports. Originality/Valu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the trade affecting the regional economy. It looked at the regional economy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and forecast the trade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thus helping to understand the state of trade in the process of the urbanization in the Kyushu region.
Ⅰ. 서 론
Ⅱ. 규슈와 한국의 무역동향
Ⅲ. 기계제품 수출입의 수평분업과 무역특화
Ⅳ. 규슈의 대한국 기계제품 수출입의 품목별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