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분노표현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The Factors of Self-esteem;Anger Expression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1호
- : KCI등재
- 2021.01
- 157 - 167 (11 pages)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분노표현;SNS중독경향성의 정도 및 그들 변수 간의 관계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2020년 5월 18일~28일까지 총 10일 간 S시;G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SNS을 이용하고 있는 대상자에게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10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SNS중독경향성과 자아존중감(r=-.385;p<.001);분노조절(r=-.354;p<.001)과는 보통의 역 상관관계;분노표출(r=.321;p=.001);분노억압(r=.308;p=.002)과는 보통의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자아존중감(β=-.297;p=.001);성별(β=.266;p=.003);분노표출(β=.247;p=.007) 순으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7.7%로 나타났다(F=12.279;p<.001). 따라서 SNS중독경향성을 낮추기 위해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분노표출을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성별에서 여자 고등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낮추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Self-Esteem;Anger-Out;Anger-In;Anger-Control and SNS Addiction Tendency of high school students;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SNS addiction tendency. For a total of 10 days from May 18 to 28;2020;a total of 100 people were collected using online questionnaires to those who were attending high schools in S and G regions and using SNS. As a result of the study;SNS addiction tendency and self-esteem(r=.385;p<.001);anger-control(r=-.354;p<.001) showed a normal inverse correlation;and an anger-out (r=.321;p=.001);anger-in (r=308;p=.002) showed a common net correlation. Factors affecting SNS addiction tendencies were self-esteem(β=-.297;p=.001);gender(β =.266;p=.003);and anger-out(β=.247;p=.007);with 27.7% explanatory power in the regression model(F=12.279;p<.001). Therefore;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lower their anger-out in order to reduce SNS addiction tendencies;especially for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gender.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