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에 백여 년 이상 지속되었던 선리의 논쟁은 한국선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이었다. 백파의 『선문수경』에 대하여 초의가 『선문사변만어』에서 비판했던 주제는 임제삼구와 관련한 삼종선의 배대, 삼처전심, 조사선과 여래선의 선문오종의 배대, 조사선과 여래선의 유래, 격외선과 의리선, 살인도와 활인검, 진공과 묘유 등 일곱 가지였다. 한편 우담홍기는 초의와 별도로 백파의 견해에 대하여 비판한 점은 삼처전심, 조사선과 여래선 및 의리선과 격외선, 살인도와 활인검, 삼구와 일구의 관계 등 네 가지였다. 그리고 백파의 제5세 법손이었던 설두유형은 백파의 견해를 옹호하면서 초의와 우담의 비판에 반박하였다. 설두는 초의에 대해서는 조사선과 여래선, 삼처전심과 이선, 權에 즉하여 實을 해명하는 것, 임제의 제삼구는 의리선, 살과 활, 선종오가의 배열, 진공과 묘유 등 여덟 가지였다. 또한 우담에 대해서는 삼처전심, 여래선·조사선 및 의리선·격외선, 살인도와 활인검, 삼구와 일구의 관계 등 네 가지였다. 또한 禪·敎·律을 겸비했던 축원진하는 기존의 오랜 논쟁에 대한 종합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진하는 이미 제기된 의문점을 해소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선리논쟁의 의미를 긍정적인 측면으로 유도하려고 하였다. 조선후기에 출현했던 이들 선리의 논쟁의 성격은 한국선종사에서 다양한 주제에 걸쳐서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심화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한국선의 특색을 잘 드러내준 사건이었다. 이 선리논쟁은 임제선종이 주류를 형성해왔던 한국선의 정체성과도 무관하지 않은 주제였다.
The zen-doctrine polemics, which lasted more than a hundred ye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n important event in the history of Korean Zen. There are seven themes that Choui-Uisoon(草衣意恂) criticized in the Seonmoonsabyunoe(禪門四辨漫語)about the Seonmoonsugyong(禪文手鏡) of Bakpa-Geungsun(白坡亘璿). For example, the three zens related to the three phases of Linjie(臨濟三句), convey one s mind in three places, tathagata-zen and patriarch-zen, the origin of tathagata-zen and patriarch-zen, theory-zen and extraordinary-zen, a sword to that kills people and a sword to save people, complete void and subtle existence. On the other hand, Udam-Honggi(優曇洪基) criticized four things about Bakpa-Geungsun s view independently of Choui-Uisoon by Seonmunjaejungrok(禪門證正錄). For example, convey one s mind in three places, tathagata-zen and patriarch-zen and theory-zen and extraordinary-zen, a sword to that kills people and a sword to save people, three kinds of teachings and single teaching. And Suldoo-Yoohyung(雪竇有炯), fifth generation side with one s views of Bakpa-Geungsun s refuted criticism by Choui-Uisoon and Udam-Honggi, defending Bakpa-Geungsun s views by Seonwonsoryu(禪源遡流). Suldoo-Yoohyung refuted Choui-Uisoon s criticism in eight ways and also refuted Udam-Honggi s criticism in four ways. Chookwon-Jinha(竺源震河) took a comprehensive attitude toward the existing long-standing debate by Seonmoonjaejungrok(禪文再正錄). Chookwon-Jinha tried to resolve the already raised questions and tried to induce the meaning of zen-doctrine polemics to a positive aspect. The nature of these zen-doctrine polemics that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the case tha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zen-history because it showed a long-standing deepening in various topics in Korean zen-history. These zen-doctrine polimics was closely related to the identity of Korean zen, where Linjie zen-sect was the mainstream.
Ⅰ. 서언
Ⅱ. 『선문수경』에 대한 초의의순의 비판 양상과 그 성격
Ⅲ. 『선문수경』에 대한 우담홍기의 비판양상과 그 성격
Ⅳ. 초의와 우담의 비판에 대한 설두유형의 반박
Ⅴ. 축원진하의 논쟁 수렴
Ⅵ. 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