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공동생활가정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양육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사들의 삶의 현장에 대한 이해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년 공동생활가정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양육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지오르지(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아동·청소년 공동생활가정에서 근무했거나 현재 근무하는 10명의 사회복지사가 참여하였으며,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동생활가정에서 생활하는 아이들에게 먼저 다가가기’, ‘서로 다른 갈등적 시각이 존재’, ‘업무환경이 주는 스트레스’, ‘근무하기 위한 버팀목’, ‘현재 머무는 곳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직업적 보람 찾기’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생활가정에서 아동·청소년을 양육 경험하는 사회복지사들이 느끼는 가치와 보람에 대해서 논의하였고, 사회복지 실천 차원에서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scrib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workers lives in various situations based on the perspective and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engaged in cohabitation with children and youth. For this purpose, the unique child rearing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who are in charge of child rearing and administrative works, has been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Giorgi.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meaning and essence of social workers in group-home for children and youth? The consented ten social wor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face to face in depth interview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Initiative Approach to Children Living in a Group-Home, Two Different Conflict Perspectives, Stress from the Work Environment, Support for Working, Going One Step Further Where You Are Staying, Finding Professional Reward. Based on these results, the value and worth of the social workers who have experiences of rearing children and youth in the group-home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were further suggested.
I. 서론
II. 문헌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