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K팝의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K팝의 경쟁력, 특히 인기 요인과 장애 요인을 분석하고, K팝의 글로벌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음악산업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K팝의 인기 요인은 K팝 가수들의 외적 매력과 뛰어난 퍼포먼스 등 개인적 역량과 기획사의 노력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K팝의 장애 요인의 경우, 혐한류 및 한한령 등 국가 간 부정적인 정서와 해외 공연 시 운영비용 대비 수익이 높지 않은 문제가 확인되었다. 셋째, K팝의 인기 시장은 동남아시아, 일본 순이었으며, K팝의 경제적 전략시장은 일본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비경제적 전략시장은 북미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문가가 인식하는 K팝 글로벌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 방안의 경우, 해외 진출국에 대한 현지 사전 조사 시 지원 서비스에 대해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of music industry experts to expand K-pop in overseas markets. Studies have shown that K-pop s popular factors include the external appeal of K-pop singers and their outstanding performances, as well as the agency s efforts. Next, in the case of K-pop s barrier factors, negative sentiments such as anti-Korean Wave, and problems with low profits compared to operating costs when performing overseas have been identified. Third, K-pop s popular markets were in Southeast Asia and Japan, while K-pop s economic strategic market was identified as Japan. And non-economic strategic markets have emerged in North America. Finally, when it comes to the government s support for K-pop globalization recognized by expert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aid that the government s support for support services is needed in advance of the local survey of foreign countries.
1. 머리말
2. K팝 소비 특성과 인기 및 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3. K팝의 해외 진출을 위한 기존 문헌 고찰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