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조직은 외부 환경 변화에 민첩하고, 유연하게 대응하고자, 수평적이면서도 자율적인 조직구조로 변모하고 있고, 동시에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 많은 조직들은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이 결과로, 현재 대부분 조직은 구조측면에서 팀구조를 도입하였고, 조직구성원들에게는혁신을 위한 변화주도행위를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팀구조가 제대로 작동하고 팀구성원이 자발적으로 변화주도행위를 시도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요구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팀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다. 왜냐하면, 팀구조의 작동과 팀구성원의 변화주도행위는 팀구성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에 기반을 두고 있고, 내재적 동기부여 증진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이 핵심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와같은 기존 논의를 확장하여,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부하의 변화주도행위간 관계가 부하라는 상황요인에 의해서 달라질 것이라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부하라는 상황요인은 기존 연구에서 다양하게 개념화되었는데, 본 연구는 팔로워십을 도입하여, 이의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국내 기업 종사자로부터 304부의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임파워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변화주도행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팔로워십의 두 차원(사고, 참여) 중, 팔로워십 참여가 이들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Recently, most organizations are changing their structure more horizontal and autonomous to adapt themselves more flexibly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they also pursuit innovation to achieve competitive advantage. For achieving these two goal, in one hand, most organizations are adopting team structure and, in the other hand, requesting their employees taking charge for organizational innovation. It is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what is most required to activate team structure and promote team members’ taking charge because team structure can function and team members will challenge taking charge on the base of member intrinsic motivation and empowering leadership is critical for enhancing intrinsic motivation. We extended these expectation by adopting contingent approach. Namely, we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follow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empowering leadership and subordinates’ taking charge. For empirical analysis, we collected 304 questionnaires from employees belonging to Korean company. Major finding is as followings. First, empowering leadershi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aking charge. Second, only participation dimension out of two dimensions of followership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taking charge. On these results, we conduc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Ⅲ. 연구방법과 측정도구
Ⅳ. 실증분석 결과
Ⅴ. 토 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