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048.jpg
KCI등재 학술저널

셀프리더십이 발언행동과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on Voice and Cooperative Behaviors: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Affective Commitment

DOI : 10.22243/tklq.2020.11.5.3
  • 1,518

본 연구는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이 그들의 자발적이자 긍정적인 행동인 발언행동과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셀프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특히, 셀프리더십이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과정에서 정서적 몰입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셀프리더십의 영향의 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육군 조직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독립변수인 셀프리더십, 매개변수인 정서적 몰입, 직무스트레스는 부하가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변수인 발언행동과 협력행동은 직속상사가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수준이 높을수록 발언행동과 협력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셀프리더십과 발언행동 및 협력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의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가지는 매개효과는 종속변수인 발언행동과 협력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 몰입을 통해서만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셀프리더십의 결과 변수 중 그동안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발언행동과 협력행동에 대해서 연구함으로써 셀프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둘째, 셀프리더십과 발언행동 및 협력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셀프리더십의 영향력 과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적 몰입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는데, 셀프리더십이 먼저 직무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반응인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이는 다시 조직에 대한 태도인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줌으로써 결국 행동으로 표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무적으로 조직구성원의 긍정적 행동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조직구성원의 셀프리더십 발휘를 촉진할 수 있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by empiricall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voice behavior and cooperative behavior, which are voluntary and positive behaviors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that contribute to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influential process of self-leadership by reveal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ffective commitment and job str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leadership and the voice behavior and cooperative behavior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members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Self-leadership, the independent variable, affective commitment and job stress, the mediating variable, were measured by organizational members using the self-reporting method. Voice behavior and cooperative behavior,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y the lead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leadership of the members, the more they speak up and cooperate. Second, it was shown that affective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 s self-leadership and voice and cooperative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members does not directly mediate the effect of self leadership on the subordinates voice and cooperative behavior, but only through affective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in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has been enhanced by examining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voice and cooperative behaviors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that have not been studied much in the past on the topic ofself-leadership. Second, it has implications in that it has expanded its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process of self-leadership by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ffective commitment and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voice and cooperative behaviors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In particular, this study identified the serial-mediation effect of job stress and affective commitment, which is meaningful in that self-leadership first reduces job stress, which is the response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to the job, which in turn can be expressed in action by influencing affective commitment, which is the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practice, it is important to enable self-leadership in order to induce positive behavior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a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created to facilitate the exercise of self-leadership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