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방직후 노동계급의 정치사회화과정에 관한 연구
전평을 중심으로
- 윤민재(Min Jae Yoon)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논집
- 제43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2.05
- 1 - 24 (24 pages)
해방직후 남한의 최대 노동자조직은 전평이었다. 전평은 기관지와 교양회, 강습회 등을 활용하여 의식화 작업과 일상적 투쟁작업을 강화하였고 신문을 이용하여 교양지식사업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작업들은 정치사회화의 조직적인 전개과정이었고 노동대중들을 계급형성과정으로 나가게 하는 중요한 시도였다. 그러나 전평의 신전술 등의 정치투쟁은 노동자계급의 정치세력으로의 발전을 차단하는 역효과를 낳기도 하였다. 이것은 바로 전평의 정치사회화과정의 한계였다.
After 1945, the biggest labor union in South Korea was the National Council of Chosun Labor Union(NCCLU). The NCCLU raised working class awareness and reignited daily strife through newsletters, forums and seminars and expanded knowledge programs through newspapers. These works were systematic development of political socialization and a critical step for the formation of working class. However, its excessive political conflict and misreading of the situation had a reverse effect that ended the process of strife and formation of working class. This caused the NCCLU failure of political socialization and politics of working class.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자원
Ⅲ. 전평 결성과 배경
Ⅳ. 전평의 정치사회화 전략과 정치참여
Ⅴ. 9월 총파업과 정치사회화과정의 한계
Ⅵ.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