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체 근로자의 임금에 대한 HRD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HRD on the Wage of Korean Corporate Workers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논집
- 제44권 제1호
- : KCI등재
- 2013.05
- 1 - 24 (24 pages)
이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 자료를 활용해 근로자의 임금에 끼치는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위계적 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에 입각해 근로자의 인적 자원, 기업체의 특성 및 교육훈련변인들이 임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전사적 교육훈련은 임금에 긍정적 효과, 현장형 교육훈련은 부정적 효과를 나타냈고. (2) 우량 기업일수록 근로자의 임금에 대한 인적 자본의 효과가 배가했으며, (3) 인적 자본 중에서는 직급이 교육훈련 참여도와 강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근로자들의 임금에 대해서는 명시적 효과가 기대되는 현장형 교육훈련 대신 잠재적 인력양성 기능을 담지한 전사적 교육훈련이 일관된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이 밝혀졌는데, 이러한 “잠재적 요인의 명시적 효과(manifest effect of the latent factor) 를 설명하기 위해 기업교육의 기능과 더불어 2005년 당시 한국의 사회경제적 상황이 논의되었다.
Based upon HCCP data collect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Education & Train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HRD on the wages ofKorean corporate workers. Corporate HRD is an endeavor to promote the performanceof a corporation. Wage is conceived as an indirect measure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Using HLM(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the effects of workers human capital,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rporate education/training upon wage are investigated. Findings are as follows; (1) positive effect of corporate-level education/training and negative effect of work-floor situational education/training on workers wages respectively, (2) greater effect of workers human capital upon their wages among prestigious corporations, (3) strong interaction effect between workers organizational position and experiences of corporate education/training with respect to their wages. In sum, the influences of corporate-level education/training on workers wages turnout to be more significant and consistent than those of work-floor education/training. In order to explain this manifest effect of latent factor, functional implications of thevery concept of corporate education(and training)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ofKorea during the year of 2005 were discussed.
I. 문제 제기
II. 이론적 논의 및 가설
III. 연구방법
V.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