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레임 분석을 통해서 본 언론의 규범적 가치와 실제
아프간 선교단체 피랍사건 보도에 나타난 편향성을 중심으로
- 황우선(Wooseon Hwang) 김성해(Sunghae K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논집
- 제46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5.05
- 83 - 109 (27 pages)
언론보도에서 종교는 국제사회, 정치와 사회 등 다른 주제와는 달리 특정한 선입관(bias)에서 자유로울까? 국가, 인종, 젠더와 계급 등에서 발견되는 왜곡된 재현(Representation)이 종교에서도 반복된다면 그 폐해는 무엇일까? 또 왜곡은 어떻게 진행되는 것일까? 그간의 연구에서 종교에 대한 재현 문제를 다룬 경우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이에 아프가니스탄 인질사태를 계기로 표출된 기독교에 대한 언론의 보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언론 편견을 살폈다. 분석사례로 2007년의 아프가니스탄 선교단 피랍 사건을 택했다. 기독교가 한국에 전래된 이래 해외선교 활동 중 최다 피랍 규모로 국민적 충격을 준 역사적 사건이라는 점을 감안했다. 언론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던 이 사건을 통해 특정 종교에 대한 편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기독교를 택한 것은 다수의 엘리트가 믿는 종교로 일반적인 거부감이 있고 다른 종교와도 잦은 충돌을 빚기 때문으로 사회적 강자에 대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을 고려했다. 분석 항목으로 기독교(인) 및 탈레반에 대한 뉴스 프레임을 택했다. 종교 및 이념적 차이를 고려해 모두 6개의 신문사를 선정했고 최종 215개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국내 언론 전반에서 기독교와 탈레반에 대한 특정한 프레임이 발견되었다. 먼저 기독교 관련 뉴스의 경우 사역의 대가, 선한 의도, 실용주의, 공격적 선교, 종교적 반감 등의 뉴스프레임이, 탈레반 관련 뉴스는 관심 유도, 종교적 신념, 경제적 이익, 일탈행위, 및 정당한 대응 등의 뉴스 프레임이 각각 드러났다. 국내 언론의 일반적인 양상만이 아니라 언론사별 프레임의 비중도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언론은 공동체의 집단기억과 집단정체성 및 규범과 신념 체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왜곡된 재현으로 인해 특정한 선입관이 강화되고, 부정적 여론과 부당한 집단적 태도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중립적이고 공정해야 하는 언론은 또한 공동체가 지향하는 가치관을 옹호하고, 보편적 가치를 수호하고, 올바른 정체성 형성에 노력할 의무를 진다. 본 연구를 계기로 전문적 매개자로서의 공정성, 진실과 증거에 대한 공정성 및 보편적 가치에 입각한 공익에 대한 공정성을 성찰하고 합리적 대안을 성찰할 수 있기를 바란다.
Is the religion free from media biases characterized by fairness, balance and objectivity? If biased representation occurs in reporting those issues like religion, nation, race, gender and class, what kinds of harmful impacts come into being? Until now, though, there existed few studies which focus on religious repor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earth the bias of the media reporting on the christianity exposed with kidnapped Afghanistan missionary group. The kidnapped group was selected as the case study given the largest scale of Korean missionary history. Also did relatively hostile and less accurate news about the story make it of valuable research. While acknowledging that media s unfairness can be identified with frames consisted of a pack of logical statements, it has analyzed total 215 articles from various newspapers. Such frames as price of ministry, good intention, pragmatism, aggressive mission work, religious hostility, religious faith, financial gain, deviant behaviors and justifiable responsibility were employed for this purpose. It turns out that the media applied different frames in accordance with not only public opinion but their own political stance. While most of Korean media showed strong antipathy against the case, there found strong sympathy on Taleban militants accused of violating human rights. Surprisingly, the Korean media failed to correct false information in way of satisfying public mood. The media have a strong influence on collective memory, collective identity, system of norms and faith in community. Distorted reappearance by the media intensifies specific prejudice and makes negative public opinion. This study will be a valuable starting point to examine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journalistic norms and public mood in time of crisis.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논의: 언론의 편견과 바람직한 재현
Ⅲ. 연구문제 , 연구방법 및 자료수집
Ⅳ. 분석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