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854.jpg
KCI등재 학술저널

개인적·관리적·조직적 요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Individual, Manageri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Korean and U.S. Public Servants’ Perceptions

  • 9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조직효과성을 높은 수준으로 달성하도록 하는 핵심 요인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파악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정부조직의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실효성 있는 처방을 내리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조직효과성의 개별 요인을 중심으로 연구해온 기존 선행연구를 보완하여 보다 종합적인 시각에서 개인적·관리적·조직적 요인으로 조직효과성의 영향요인을 구분하여 각 요인별 영향력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정부가 처한 행정환경에 따라 정부조직의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과 미국 정부조직의 경우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실시된 한국행정연구원의 ‘행정에 관한 공무원 인식조사’ 자료와 미국 인사관리처의 ‘미국 연방 공무원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 차원에서 개인 책임성과 보수만족이 한국과 미국정부조직 모두에서 공직만족의 중요한 결정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리 차원에서는 한국의 경우 관리자의 리더십이 공직만족과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밝혀졌으며, 관리자 직무수행 태도는 조직성과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국의 경우에는 관리자의 리더십이 공직만족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차원에서는 한미 모두 창의적인 조직 운영이 공직만족과 조직성과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인사공정성의 공직만족에 대한 영향력은 한미 정부조직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력은 미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실증분석 결과에 따라 향후 한국의 정부조직을 관리 및 운영함에 있어 공무원 개인의 차원에서 보수만족을 높이기 위해 보수제도에 대한 관리 및 개선을 시도할 필요가 있으며, 조직 차원에서는 업무수행에 있어 혁신적으로 접근하려는 공무원의 새로운 시도를 장려하며 창조적 생각을 추구할 여유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개별 요인들을 선별적으로 살펴온 기존 연구를 확장해 다양한 차원에서 어떤 요인이 조직효과성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지 규명하고, 한미 공무원 간 인식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행정환경의 차이에 따른 영향요인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들 수 있다.

This empirical study aims to determine the key factors for achieving high level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public sector. Specifically, unlike most previous researches focusing on factors separately, this comprehensive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of impacts of individual, manageri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analyzed Korean and U.S. government comparatively, by noting that factors that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overnments may differ depending on their administrative environment. This study conduct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Korean and U.S. survey data of public servants’ perceptions in the year of 2010. In accordance with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oncerning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Korean government organization can be derived. In the individual level, the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the pay system to increase the pay satisfaction is necessary. In the organizational level, encouraging public servants of innovative mind toward new approaches in their jobs and providing flexibility to pursue their creative thinking are importa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policy implications and proper prescrip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overnment are derived. Also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etween Korean and U.S. government are comparatively analyzed.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및 가설설정

Ⅳ. 자료 및 분석

Ⅴ. 회귀분석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