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855.jpg
KCI등재 학술저널

맞벌이 여성의 소득기여도가 가사 시간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Wives’ Income Contribution on Their Housework Time

  • 15

맞벌이 여성의 가사시간량 연구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대단히 중요한 연구주제로 주목받고 있다. 일·가정 양립 문제부터 여성 경력단절 문제에 이르기까지 국가 최고 중요 정책 연구과제의 중심에 맞벌이 여성의 가사 시간량이 놓여 있다.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생활시간조사는 이러한 종류의 연구에 동원되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자료이다. 본 연구자는 2004년, 2009년, 2014년 자료를 분석하여 맞벌이 여성의 가사시간을 결정짓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구분된다. 첫째, 기존의 대다수의 연구들은 분석의 대상을 개인단위로 설정한 탓에 동거하는 가족의 특성을 분석의 대상으로 포함시키지 못하였다. 하지만 남편이나 또는 동거하는 부모의 가사활동 및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이 맞벌이 여성의 가사시간에 영향을 미치리라는 것을 쉽게 가정할 수 있다. 둘째, 생활시간조사 자료가 10년 이상 축적된 만큼 이제는 시계열적 변화 추이를 확인해볼 때가 되었다. 본 연구자는 조사연도와 주요 설명변수들의 상호작용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남편이 가사에 참여하고 동거하는 부모의 가사 시간량이 증가할수록 아내의 가사시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부부의 소득이 증가할수록 아내의 가사시간은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과거에서 현재로 오면서 아내의 소득기여도가 높을수록 아내의 가사시간은 감소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이는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이 젠더수행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약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What is important in South Korea is work-life balance issue.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focus on dual earner couples’ housework time. Especially I analysis wives’ housework time in this paper. Two points distinguish this research from earlier researches. First, this study analyze characteristics of husband and parents who live together. Second, I analyze period effects. To sum up, I found that husbands’ housework time and gender equality attitude have negative effects on wives’ housework time. Also, couples’ income has same effect. Finally, wives’ income contribution degree helps to decrease wives’ housework time and this tendency has become stronger.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기존연구 검토 및 연구문제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연구요약 및 함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