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857.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중장년 세대 내 불평등과 격차

Inequality and gap within the middlle aged Koreans

  • 71

이 논문은 한국의 중장년 세대(40-59세) 내의 기회불평등을 중심으로 불평등 문제를 다룬다. 불평등은 조건의 불평등, 기회의 불평등과 결과의 불평등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현실에서 작용하는 불평등은 세 가지 불평등이 인과적으로 겹쳐져서 상호작용한다. 생애과정에서 중장년 세대는 가족생활과 자녀의 미래를 동시에 책임져야 하는 세대이다. 먼저, 안정적인 가족생활에서 중요한 안정된 주거환경 기회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높아지지만, 자가소유에 미치는 교육수준과 소득의 효과는 연령 집단에 따라서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세대가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기회불평등은 자녀 교육과 계층이동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자녀교육과 관련하여 소득계층에 따른 격차가 대단히 컸다. 그리고 자신이 경험한 부모-본인 사이의 계층이동과 비교해서 미래의 계층이동인 본인-자녀 사이의 계층이동은 계층에 따라서 격차가 더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중장년 세대는 본인자녀의 계층이동의 경우가 부모-본인 계층이동의 경우보다 무려 3배 ~ 11배 정도 더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추세는 중소도시나 농촌보다 광역도시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것은 기회의 공간이라고 생각되어졌던 경제성장기의 이미지와는 반대의 이미지로 이미 대도시 내에서 계층이동이 기타 지역에 비해서 더 고착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미래 희망에 있어서도 계층에 따라서 격차가 발생하는 희망격차가 현실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흙수저-금수저’ 담론이 도시 중장년들에게서도 상당히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inequality within the middle aged Koreans from 40 to 59, focusing on inequality of opportunity. While inequality can be conceptually differentiated by inequality of condition, inequality of opportunity and inequality of results, those inequalities are operating in overlapping causal chains. In one s life course, the middle aged Koreans should provide the security of family life and the future of their children. While the possibility of secure housing grows as one grows older, The effect of age and education on the possibility of ownership of one s own house has been varying across age cohort.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inequality of opportunity of children s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seems be conspicuous. Odds ratios of social mobility, the relative possibility of subjective social mobility between different social origins, reveal that children s generation will experience three times and more rigid social mobility than parents generation. Those who live in urban areas think that their possibility of social mobility is less than that of those living in rural areas. In short, differential perceptions of social mobility by social strata display the fact that there is a gap in hope for the future social mobility across social strata.

I. 문제제기

II. 생애과정과 기회 불평등

III. 자료 및 분석 결과

IV. 미래 기회의 불평등

V.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