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859.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식(食)문화의 문화적 경계에 대한 탐색

A Study on the Cultural Boundaries of Korean Food Culture: Focused on liquor preference and attitude toward food quality

  • 49

이 글은 한국의 식문화의 경계를 형성하는 문화적 요인을 선호 주류와 식품에 대한 태도를 통해 탐색한다. 이를 위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이론을 바탕으로, 2014년 조사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식품소비행태조사」를 활용하여 두 가지 유형의 분석을 실시했다. 첫째, 식품 소비 태도 및 선호에 대한 분석을 위해 대응분석(correspondence analysis)과 둘째,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식품의 품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주류 선호의 경우 직업이나 소득보다도 세대와 학력에 따라 선호하는 주류의 범주가 명확하게 나뉘었다. 식품 품질에 대한 관심 정도 역시 성별, 연령, 학력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보았을 때 한국 사회의 문화 자본은 동일한 경제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을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했을 때, 세대와 학력이라는 요인이 식문화의 문화적 경계를 설명하는 주요 변수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한국 사회의 압축적 성장을 고려할 때 세대 그 자체의 코호트로서의 효과는 교육수준에 의한 효과라고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의 식문화와 문화 자본은 세대의 이면에 학력과 다른 요인이 중층적으로 개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cultural factors that form the boundary of Korean food culture through the attitudes toward preferred liquor and quality of food. To do this, I conducted two types of analysis based on the Bourdieu s theory of cultural capital, using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of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in 2014.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toward food quality through corresponde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for food consumption attitude and prefere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ategories of preferred liquor were divided according to generation and education. The degree of interest in food quality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gender,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factors of generation and education are the primary variables explaining the cultural boundary of food culture. However, considering the compact growth of Korean society, the effect of the generation itself as a cohort is due to the educational level. In summing up these discussions, it can be seen that the food culture of Korean society is intertwined with education and other factors in the middle of the generation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