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859.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서비스에 대한 복지태도의 결정요인 분석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Welfare Attitudes toward the ‘Social Service’ : Focusing on ‘Social Service’ Experiences and Opinions on Policy Promotion

  • 12

국민에 대한 맞춤형 복지정책을 강화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에 대한 국민들의 복지태도를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복지태도를 태도와 의식의 측면에서 복지증세에 대한 태도와 복지정책에 대한 기대의 두 부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복지태도에 대한 집단별 결정요인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정부의 복지정책에 실효성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 국민의 기본생활을 보장할 수 있도록 확대 개편된 제도 중 하나인 사회서비스에 주목하고, 이에 대한 국민들의 복지태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두 복지태도 모두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종속변수인 ‘사회서비스를 위한 추가 세금 부담 의사’에 대해 독립변수인 가구 요인에서는 장애인 가구원 수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가구, 삶의 질 변수가, 그리고 경제적 요인에서는 초과지출과 의료비 지출 부담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두 번째 종속변수인 ‘사회서비스에 대한 기대’에 대해서는 가구 요인 중에서 장애인 가구원 수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가구, 거주 지역 규모(대도시, 중소도시), 삶의 질 변수가, 그리고 경제적 요인 중에서 월평균 총소득, 초과지출, 기초생활 지출 부담, 가계경제 어려움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복지정책의 발전에 있어 국민의 인식과 태도를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지 않았던 기존의 관점을 보완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정부가 지향하는 ‘수요자 중심의 근거 기반 정책(evidence-based policy)’을 위한 유의미한 함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welfare attitudes of the people at present time as government is strengthening the customized welfare policies for the people. Therefore, in this study, we divided the welfare attitudes into two parts: attitude toward welfare tax increase and that toward expectation for welfare policy. Then,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s of group-specific determinants of each welfare attitude, we tried to provide effective policy suggestions to the government s welfare poli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Social Service’, one of the expanded and reorganized systems to guarantee the basic livelihood of the whole people, and examined the welfare attitudes of the peopl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both welfare attitud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to the first dependent variable, ‘willingness to additional tax burden of the Social Service’, it was found that some independent variabl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ese were such household factors as ‘number of household members with disabilities’, ‘households receiving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tection Program’, and ‘quality of life’, and were such economic factors as ‘overspending’ and ‘burden of medical expenditure’. With regard to the second dependent variable, ‘expectation for the Social Service’, it was revealed that some independent variabl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These were such household factors as ‘number of household members with disabilities’, ‘households receiving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tection Program’, ‘size of the residential area(metropolita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quality of life’, and were such economic factors as ‘average monthly income’ ‘overspending’, ‘burden of basic livelihood expenditure’ and ‘household economic difficulty’. This study complements the existing viewpoints that did not consider the people’s perceptions and attitudes as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welfare policies so far. This study also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meaningful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for the ‘evidence-based policy’ which government is orienting.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