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860.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문가 집단이 노동시장의 제도 도입 및 이행에 미치는 영향

육아휴직 제도의 사례

  • 20

규범적 동형화란, 전문가 집단이 조직에 행사하는 영향력을 의미한다. 선행연구에서는 노동시장에서의 젠더 차별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에서 도입한 다양한 제도들이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정부의 압력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해왔다. 그러나 정부뿐만이 아니라, 전문가 집단 또한 제도의 이행에 긍정적인 압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사업체패널 데이터를 바탕으로 육아휴직 제도의 도입과 이행에 인사전문가 집단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인사전문부서가 있거나 외부 인사전문가와 접촉이 있는 조직에서 육아휴직 제도가 활발하게 이용될 가능성이 높았다. 전통적으로 국내에서는 인사업무가 조직의 인력관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업무만을 담당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그 영향력이 간과되어왔다. 그러나 국내에서도 인사전문가 집단의 영향력이 존재하며, 앞으로 조직 차원에서 시행되는 제도의 실행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에 있어 이들 집단의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Normative isomorphism is the power of the professionals and expert group on an organization. In Korea, many scholars have argued that powerful governmental pressure is required for those policies to be effective. However, the state is not the only actor who exerts pressure on firms; the professionals also have positive impact on bringing out change in business practices. Based on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analyzes the influence of the HR professionals on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parental leave policy by using Work Place Panel Survey. Results show that an independent HR department in an organization and contacts with the experts outside increases the chance of parental leave policy to be adopted and frequently utilized. The normative isomorphic pow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organizational structure. In Korea, the HR practice has been traditionally regarded as the minimum task needed for manpower management and unobserved. However, this study implies that the HR expert group has influential power, and their power should be considered when analyzing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policies on organizational level.

Ⅰ. 들어가며

Ⅱ. 규범적 동형화와 디커플링

Ⅲ. 육아휴직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Ⅳ. 분석자료 및 모형

Ⅴ. 분석 결과

Ⅵ. 논의 및 한계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