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860.jpg
KCI등재 학술저널

자기조절역량 기반 코칭 효과척도 개발

Development of coaching effect scale based on self-regulation

  • 13

자기조절역량에 초점을 둔 코칭효과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두 개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코칭척도의 문항 개발 및 기본적인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가 대학생 533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도출된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가 독립적인 표본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 확인된 행동계획, 자기탐색, 정서조절, 대안탐색 및 목표조절의 5개의 자기조절 역량요인은 연구 2에서 심리측정적 속성에서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MSEA=.040(90% CI=.035, 046), CFI=.959, TLI=.955]. 이러한 결과는 이 척도가 코칭 효과 척도로서 사용되기에 적절하며, 자기조절 역량에 초점을 둔 코칭 척도의 개발은 특정 영역이 아닌 코칭의 전 분야에 걸쳐 경험적 연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wo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a coaching effect scale based on self-regulation. Research 1 was conducted with 533 university students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and develop questionnaires for the coaching scale, research 2 identified the factors found in research 1 and research was conducted on a independent sample to verify its validity. research 2 validated target control, action planning, self-discovery, emotion regulation, alternative plan selection from research 1 as appropriate in a psychometric element [RMSEA=.040(90% CI=.035, .046), CFI=.959, TLI=.955]. Such result suggest that this scale is appropriate as a coaching effect scale, and the development of a self-regulation based coaching effect scale make it possible to preform empirical research across all fields of coaching.

Ⅰ. 서론

Ⅱ. 연구 1

Ⅲ. 연구 2

Ⅳ. 논 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