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860.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년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를 중심으로

  • 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년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행복에 대한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의 영향력을 규명하고,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대규모 조사자료 중 하나인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의 1,48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청년취업자의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 직무만족도 및 행복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취업자의 수면시간, 자기인식 및 사회신뢰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청년취업자의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 및 직무만족도는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이 노력하여 취업자의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를 증진한다면, 청년취업자 개개인의 직무만족도와 행복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social trust,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youth worke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a large, population-based study conducted by the KRIVE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articipants attended a youth worker in Korea. A hypothetical model was proposed, which was composed of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social trust, as exogenous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happiness as endogenous variables. The hypothetical model was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and social trust had significant effects on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Second,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soci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youth workers’ happiness. Therefore, the company and government should prepare youth workers’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and social trust to control for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rough this stud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