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863.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고령자의 평생학습활동이 사회참여활동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 매개효과의 검증

  • 29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평생학습활동과 사회참여활동, 삶의 만족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떠한 변화양상을 보이는지, 평생학습활동의 초기값과 변화율이 사회참여활동의 초기율과 변화율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데이터 중 2012 ~ 2016년까지의 제 4차, 5차, 6차 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평생학습활동, 사회참여활동, 삶의 만족도의 변화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변인별로 단변량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평생학습활동, 사회참여는 초기값과 변화율의 평균과 분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선형변화모형으로 결정되었고, 삶의 만족도는 무변화모형으로 결정되었다. 이론모형을 분석한 결과 첫째, 시간이 변화함에 따라 중·고령자의 평생학습활동과 사회참여활동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학습활동과 사회참여활동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평생학습활동 초기값만이 사회참여활동 초기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회참여활동은 평생학습활동과 삶의 만족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령자의 평생학습활동 및 사회참여활동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종단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평생학습활동은 직접적으로는 삶의 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며, 간접적으로는 사회참여활동을 높여 삶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평생학습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사회참여활동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평생학습활동, 사회참여활동, 삶의 만족도 변인들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시간경과에 따른 장기적 관점에서 단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change over time. In addition, it will be analyzed that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initial rate and rate of change of social participation. To this end, we analyzed the data using the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 based on the aging research panel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4th, 5th, and 6th year data from 2012 to 2016).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the un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analyzed for each variable. As a result, th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determined by the linear change model because the mean and the variance of the initial value and the change rat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life satisfaction was determined as the no change mod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eoretical model, first, th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the initial values and rate of change in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only the initial value of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Thir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partially mediated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middle and old age also have a long-term effect on life satisfaction.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directly affects life satisfaction and indirectly increases social participation and contributes to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direct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but indirectly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variables in stag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over time.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평생학습활동, 사회참여, 삶의 만족도의 관계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