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5864.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중가요에 대한 선호 및 인지도의 요인 분석

The Analysis of Causal Factors of Preference and Awareness toward Korean Popular Songs, Centering on the Effects of Age and Education

  • 57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사회과학 분야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대중가요에 대한 취향 형성 요인을 탐색하였다. 먼저 개인의 대중가요 취향 형태를 구분하기 위해 14곡의 대표적인 우리나라 대중가요를 선정하여, 개별 노래에 대한 인지도, 선호도, 극단적인 선호와 비선호 등 네 가지 속성을 측정했다. 다음으로 각각의 대중가요 취향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설명변수들의 효과성을 분석했으며, 이 과정에서 특히 나이와 교육수준의 영향력에 대해 더 집중하였다. 분석 결과 설명변수와 대중음악에 대한 개인들의 취향 간에 다음과 같은 관련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사람들이 나이가 들수록 대중가요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 그리고 극단적으로 좋아하는 노래의 수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극단적으로 싫어하는 노래의 수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둘째, 교육수준은 대중가요에 대한 평균적인 선호도와 극단적으로 좋아하는 대중가요 곡 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대중가요 전반에 대한 인지도나 특정 대중가요를 매우 싫어하는 태도에 대해서는 별다른 효과가 없었다. 셋째,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나이와 교육수준은 분명 대중가요에 대한 취향에 큰 영향을 주는 변수이지만, 또 다른 분석인 다중대응일치분석 결과에 의하면 이들 두 변수와 대중가요의 취향 사이에 반드시 선형 관계가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causal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 taste on Korean popular songs, which have not drawn much attention in social science. To this end, we first identified four types of attributes that define the tastes on popular songs, such as the degrees of awareness and preference, extreme like and dislike, and measured these variables using 14 selected Korean popular songs. Then we classified various explanatory variables that may affect individual popular song tastes. Among them, we particularly focused on how age and education level affect these individual’s popular song taste-related attributes. Consequently the following relationships are found between the two variable groups. First, as people get older, the awareness and the preference on popular songs, and the number of songs they like very much tend to increase together, but the number of songs that they extremely dislike do not change much. Second, the level of educa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average preference and the number of songs they are extremely fond of, but it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gree of awareness or the attitude of aversion toward certain popular song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ior analysis, it is obvious that age and education level are very important in shaping the taste of popular music, but the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MCA) results demonstrate they do not necessarily have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taste of popular songs.

Ⅰ. 시작하는 글

Ⅱ. 관련 연구

Ⅲ. 자료와 변수

Ⅳ. 분석

Ⅴ. 나가는 글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