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예술치료에 대한 연구 결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지 논문 중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예술치료를 중재방법으로 연구된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문헌 선정은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PICO) 기준에 의거하여 총 4단계에 걸쳐 문헌 선별 과정이 진행되었고, 최종적으로 메타분석을 위한 분석 논문은 총 20편이었다. 분석 결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예술치료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95(Z=4.45,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큰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측정된 주요한종속변수를 중심으로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미술치료가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관련 변인에따른 차이에서는 사회성 영역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또한 중재 회기 수에 따른 차이에서는 12회기의 프로그램 중재가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중재 특성에 따른 회기 별 소요시간, 중재 기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대학생을 위한 예술치료 개입을 위한 구체적인 근거 기반의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둔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arts 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s through a meta-analysis approach.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19,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research from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on arts therapy intervention for university students. Literature selection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based on the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 (PICO) guideline. Finally, a total of 20 journal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for meta-analysis. As a resul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arts therap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0.95 (Z = 4.45, p < .001),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ize. Because the effect size was analyzed based on the main dependent variables measured in the study, arts therapy showed a large effect size, and, from the difference among the related variables, the social variables exhibited the largest effect siz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essions had the greatest effect on program intervention in 12 session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for each session and the duration of the intervention. Our results provided meaningful evidence-based data for future arts therapy interv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