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난소절제 비만 쥐의 골격근 내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 조절에 대한 유산소 운동의 효과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the Regulation of Inflammation-Related Gene Expression in the Skeletal Muscle of Ovariectomized Obese Mice: Improvement of Skeletal Muscle Inflammation by Swimming Exercise

  • 171
156119.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폐경기 여성은 비만 현상과 함께 만성 대사성 질환의 발생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난소절제 암컷 비만 쥐에서 수영 운동이 골격근의 염증을 조절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암컷 쥐는 난소절제 수술 그룹(O/C)과 난소절제 수술 후 운동을 실시한 그룹(O/Ex)으로 구분하였다. O/C와 O/Ex는 8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하였고, O/Ex는 8주 동안 하루 60분씩 수영 운동을 하였다. 몸무게, 지방조직 무게 및 골격근에서 염증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몸무게와 지방조직 무게는 O/C에 비해 O/Ex에서 감소하였다. O/C에 비해 O/Ex는 골격근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MCP-1, IL-6 및 TNFα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으나, IκBα의 mRNA 발현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경기 비만 여성의 동물모델에서 수영 운동이 골격근에서 염증과 관련된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폐경기 비만 여성의 건강개선에 대한 수영 운동의 분자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Since chronic metabolic disease increases with obesity in postmenopausal women,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wimming exercise modulates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skeletal muscle in obesity-induced ovariectomized female mice. The female mice were divided into an ovariectomized control group (O/C) and ovariectomized group with exercise (O/Ex). Both groups were fed a high-fat diet for 8 weeks (60min/day), and O/Ex swam for 8 weeks. Body weight gain, adipose tissue mass, and the mRNA expression of gene-related inflammation in skeletal muscle were measured. Compared with O/C, O/Ex showed decreased body weight and adipose tissue mass, as well as increased mRNA expression of inflammation cytokine such as MCP-1, IL-6, and TNFα but decreased mRNA expression of IκBα in skeletal muscle.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molecular biological information on the health improvement of obese women during menopause, suggesting that swimming exercise regulates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skeletal muscle in an animal model of postmenopausal obese women.

1. 서론

2. 본론

3.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