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121.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통합을 위한 패러다임 모색

An Exploration of Paradigm for Social Integration: Focusing on European Interculturalism and Intercultural Policy

DOI : 10.32625/KJEI.2021.23.1
  • 257

유럽의 선진 다문화 국가들은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의 부족, 경제 활동 인구 비중의 감소, 경제성장 동력의 둔화, 복지재정 부담의 증가 등으로 국가 경제를 운영하는데 큰 난관에 봉착해 있다. 그래서 유럽의 선진 다문화 국가들은 21세기에 들어서도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자구책으로 국제이주자를 꾸준히 받아들이고 있다. 그런데 이주민사회 규모의 지속적인 확대는 주류집단과 이주자집단 사이에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언어적·종교적 갈등의 골을 깊게 만들었다. 이는 심각한 사회적·문화적 불협화음을 증폭시켰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소요, 폭동, 테러의 폭력적인 유혈 충돌을 초래했다. 일련의 과격한 폭력 사태는 유럽의 여러 지도층 인사들의 입에서 ‘다문화주의 실패론’을 거침없이 쏟아 놓게 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유럽 사회는 기존의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정책을 대체할 새로운 논리와 담론을 적극적으로 모색했는데, 이때 대두된 것이 바로 상호문화주의와 그에 기반을 둔 상호문화정책이다. 상호문화주의는 특정 지역에서 다양한 문화집단들의 상호만남, 상호교류, 상호대화 등과 같은 상호관계성을 매개로 한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상호문화정책은 상호문화주의를 이념적 논리로 삼아 다양한 문화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면서 평화롭고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시행하는 방침과 수단을 일컫는다. 그런데 상호문화주의의 기본 전제는 한 사회를 구성하는 각각의 문화집단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과 규모에 상관없이 동등한 권리와 지위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 기본 전제는 현실 세계에서가 아니라 ‘유토피아적 세계’에서나 존재할 것 같은 하나의 이상적인 구상일지 모른다.

Advanced multicultural countries in Europe are facing major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ir national economy due to labor shortage resulting from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decrease in the number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lowdown in economic growth, increase in financial burden for social welfare etc. Then they are steadily accepting international migrants even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as a self-help measur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The continuous expansion of migrant society has, however, deepened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linguistic, and religious conflicts between the mainstream and migrant groups. Not only did the deep rift amplify serious social and cultural dissonance, but it also resulted in violent bloody clashes of riots, riots and terrors. A string of violent events have led many European leaders to pour out the ‘failure of multiculturalism’ without hesitation. In this situation, European societies have actively sought a new conceptual logic and argument which can replace the existing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policies. What comes to fore then are interculturalism and intercultural policies based on it. Interculturalism emphasizes dynamic interaction through interrelationships such as mutual encounters, mutual exchanges, and interactions of various cultural groups in a specific region. Intercultural policies which are based on interculturalism as an ideological logic refer to the line and the means to create a peaceful and harmonious society by interacting between various different cultural members. Last but not least: the basic premise of interculturalism is that each cultural group constituting a society has equal rights and status, regardless of the influence and scale of the society. The premise itself may, however, be an ideal concept that seems to exist not in the real world, but only in the ‘utopian world’.

Ⅰ. 들어가는 말

Ⅱ. 유럽 선진 다문화사회의 사회문화적 갈등과 충돌 사례와 원인

Ⅲ. 상호문화주의의 등장 배경

Ⅳ. 다문화정책과 상호문화정책의 비교

Ⅵ.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