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공인중개사 제도평가 및 직무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The Satisfaction on the Work Environment for the System Evaluation of the Real Estate Agents

  • 213
156124.jpg

2020년 7월 21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9년 국민대차대조표 결과(잠정)’에 따르면 비금융자산 중 주거용 부동산이 차지하는 자산은 토지와 건물자산을 포함하여 5,000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동산의 거래 중심에는 공인중개사가 있다. 그러나 한국의 공인중개사는 신뢰도가 대체로 낮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부분은 개인의 윤리부족과 부도덕성 및 직무유기 등으로 치부되어 왔다. 그런데 선행연구 결과,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직무만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의 공인중개사 신뢰도를 높이는 방안을 직무환경 만족도와 연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캐나다의 부동산중개 제도를 기본 모형으로 하여 공인중개사의 직무에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는 실무환경, 관리환경 및 교육환경의 주요 요소들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한국 공인중개사의 직무 만족도 등을 측정하였다. 캐나다 모형에 따른 한국의 공인중개사 만족도 실증분석결과, 실무환경과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증가하고, 관리환경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실무환경과 교육환경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공인중개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실무환경과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도록 하고, 장기적으로는 선진국과 같이 별도의 공인중개사 관리감독기구를 통하여 중개사의 관리주체를 법률이 아닌 실질적인 주관기구의 설립이 필요한 것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leased the “2019 National Balance Sheet Results (Estimation)” on July 21, 2020, which showed that residential real estate assets amounted to 5,000 trillion won and real estate agents are at the center of the transaction. However, most real estate agents have been accused of lack of reliability, personal ethics, immorality, and dereliction of duty if problems arise. Advance research has revealed that reliability is influenced by job satisfaction.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real estate agents in Korea, Canada’s real estate system is introduced.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is measured in three ways under the working, manage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four major factors each to determine which environment and what factors affect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actical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higher is the agent job satisfaction. In the long term, a practical supervising organization, not a law, must be established by a separate authorized brokerag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rganization, such as in Canada and USA.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