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유의어 사용 양상 분석 연구

Research on aspect of using synonym along the proficiency of Chinese learners: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 919
156143.jpg

본고는 유의어 ‘이용하다’와 ‘사용하다’가 한국어와 중국어 두 언어에서 어떤 어휘들과 공기관계를 갖는지 밝히고 이러한 차이가 한국어 학습자의 유의어 사용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사전적 어휘 정보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이용하다’와 ‘사용하다’가 가지는 의미와 기능을 분석하여 두 동사의 의미 범주의 차이를 밝혔다. 이후 설문 조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이용하다’와 ‘사용하다’ 사용에 대한 양상을 조사하였고 이를 숙달도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급학습자들은 ‘이용하다’와 ‘사용하다’의 혼용이 많아 두 어휘의 의미범주에 대해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에 비해 중국어에서 ‘이용하다’와 ‘사용하다’가 취하는 목적어의 범위가 넓고 유사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급학습자들에 비해 고급학습자들이 유의어의 의미 범주를 명확히 구분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모국어의 영향을 받아 혼용되는 경우가 나타났다. 이에 중급 단계 이상의 숙달도를 가진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두 언어에서 어휘의 의미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명확히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특히 용법을 중심으로 유의어에 대한 변별 정보를 명시적(explicit)으로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목표어에 대한 의미범주를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hat co-occurrence relation the synonym ‘utilize’ and ‘use’ has with other vocabulary in Korean and Chinese and analyze the influence such difference causes on the aspect of using the synonym by Korean learners. For that, the difference of meaning between two verbs was clarified by analyz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utilize’ and ‘use’ have in Korean and Chinese through dictionary vocabulary information. After that, the aspect of using ‘utilize’ and ‘use’ by Chinese learners was investiga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proficiency was analyzed. As the results of analysis, it showed that the learners in middle class could not recognize the meaning of two words clearly as they chose ‘utilize’ and ‘use’ in mixed way. It was analyzed that is because the range of objects that ‘utilize’ and ‘use’ take in Chinese was wider and similar comparing to Korean. Though the learners in high class distinguish the meaning of the synonym correctly, some cases showed they were still influenced by their mother tongue. So, the necessity of defining how such two words mean to the learners with the proficiency higher than middle class was suggested clearly. The distinctive information about the synonym should be suggested explicitly focusing on the usage especially for education so the learners can recognize the meaning of the objectives by themselves.

Ⅰ. 서론

Ⅱ.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용’과 ‘사용’ 동사의 의미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