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의 특수분장 재료와 기법 연구

Special Makeup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in the Film ‘The Brotherhood of War’: Focusing on Injury Makeup

  • 187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에 개봉된 국내 전쟁 영화 중 관객 수가 가장 높은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의 중·상급 상처 분장의 재료와 기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에 나타난 절단이나 화상의 중·상급 분장은 팔 부위 2, 다리 부위 2, 목 부위 1, 복부 부위 1, 몸 전체 부위 1, 얼굴 부위 1개로 총 8개의 캐릭터였다. 둘째, 형태는 캐릭터별로 제작된 더미(Dummy) 분장 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셋째, 질감은 젤라틴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컬러 표현은 점도 및 색깔별로 인공 피를 사용하였다. 넷째, 형태, 질감, 컬러에 따른 특수분장 기법으로는 더미 분장, 분사 분장, 몰딩 제작 분장, 캐릭터 분장이다. 다섯째, 튜브를 사용하여 인공 피를 분사시키는 기법을 사용하여 순간 분사 장면을 완벽하게 재현해 내었다. 여섯째, 머리를 불태우는 장면과 같이 실제 사람이 재현해 낼 수 없는 캐릭터는 몰딩(Molding) 기법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동일한 메이크업이라 할지라도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같은 재료라 하더라도 응용 방법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 속에서 무언의 시각적인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서 특수분장의 재료와 기법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mediate/advanced-level wound makeup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in ‘The Brotherhood of War,’ the most successful wartime film among those released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the 2000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intermediate/advanced-level wound makeup was classified into 8 body parts–2: arms, 2: legs, 1: neck, 1: belly, 1: body, 1: face. Second, in terms of makeup technique, dummy makeup techniques were most frequent. Third, regarding texture, gelatin was commonly used. In color, fake blood was created by viscosity and thickness. Fourth, regarding special makeup techniques by shape, texture and color, dummy makeup, spraying, molding and character makeup were applied. Fifth, fake blood was sprayed using a floater to create perfect blood scenes. Sixth, for scenes in which human actors could not be used, such as head burning, a molding technique was applied. Even with the same makeup, the effects can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s used. Further, even with the same materials, diverse makeup effects can be created depending on how they are used. Therefore, special makeup materials and techniques are crucial elements for visual communication in film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본 론

Ⅳ. 결론 및 제한점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