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생물학 관점에서 본 가짜뉴스의 유형
Types of Fake News from a Digital Biology Perspective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6, No. 1(통권 18권)
- 2021.03
- 121 - 131 (11 pages)
사이버네틱스 세상에서 디지털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수많은 정보에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진위를 따지지 않고 여과 없이 인터넷 상에서 노출되고 있다. 정보의 생산과 확산에 큰 역할을 한 소셜미디어는 2004년 페이스북이 개설되면서 현대 사회의 패러다임을 바꾸게 되는 일대의 큰 혁신을 가져오게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39억명에 이르는 인터넷 사용자 중 35억명이 SNS를 사용하고 있다. 소셜미디어는 정보의 공유와 소통의 도구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모바일기기의 발달로 SNS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게 되고 많은 정보의 확산을 가속화 하고 있다. 디지털 리터러스 능력은 컴퓨터프로그램을 통해 디자인분야와 연관성을 갖고 있다. 이에 정보 전달에 필요한 기술적 요소와 의미전달로써 소셜미디어 기반에서 정치, 사회, 경제 전반에 걸쳐 어떠한 현상이 발생되고 있는지에 대해 디지털생물학 관점에서 번식, 선택, 변이 과정을 겪으며 진화되는 ‘가짜뉴스’ 사례를 살펴보았다. 자연의 생태계도 바이러스에 의해 혼란을 야기하지만 사이버세상에서도 가짜뉴스를 만들어 사회적으로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어떻게 정보가 유통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준비가 되어야 할지에 대한 문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cybernetics world, we are living in the age of digital information and are exposed to a lot of information. Such information is being exposed on the Internet without being filtered without being criticized. Social media, which played a big role in the production and spread of information, brought about a major innovation that changed the paradigm of the modern society when Facebook was opened in 2004. Of the 3.9 billion Internet users worldwide, 3.5 billion use SNS. Social media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a tool for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SNS is being used by more people and the spread of a lot of information is accelerating. Digital literacy skills are related to the field of design through computer programs. Therefore, the case of fake news that evolves through the process of reproduction, selection, and mu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biology to see what phenomena are occurring across politics, society, and economy on a social media basis as technical elements and meaning transmission necessary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 looked at. Although the natural ecosystem also causes confusion by viruses, we can confirm that it is causing social confusion by creating fake news in the cyber world, and we want to present the problem of how information is being circulated and socially prepared.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디지털생물학 관점의 가짜뉴스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