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공원에서 청년층의 회복환경지각이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 s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and Stress Relief in Urban Parks: Focusing on Parks in Korea and China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6, No. 1(통권 18권)
- 2021.03
- 105 - 120 (16 pages)
선행연구에서 자연환경이 사람의 스트레스를 완화해 주고 도시공원이 도시의 가장 주된 자연환경으로서 회복환경지각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환경 심리학과 경관 디자인학을 바탕으로 도시공원에서 청년층의 회복환경지각의 하위요인인 벗어남, 넓이감, 매혹감, 적합성이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 부산과 중국 옌청의 15~34세의 청년을 대상으로 한국 부산의 부산시민공원, 용두산공원, 중국 옌청시의 옌두공원, 중화해당원을 조사 장소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365부의 유효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를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도시공원에서 청년층의 회복환경지각의 하위요인인 벗어남, 넓이감, 매혹감, 적합성이 모두 스트레스 해소에 통계학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 계수의 크기를 살펴보면 적합성, 벗어남, 매혹감, 넓이감의 순으로 스트레스 해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공원 설계에 대하여 디자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도시공원 경관 디자인할 때 적합성, 벗어남과 매혹감을 중점을 두고 설계해야 하고 넓이감을 한층 더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청년층의 전체적인 회복환경지각을 향상하고 청년층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도시공원 경관을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 조경 설계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청년층의 스트레스 해소에도 이론적 참고를 마련할 수 있어서 중요한 연구 의의를 지닌다.
Prior research has shown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can relief people s stress. As the most important natural environment in the city, urban parks can bring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of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eing away, extent, fascination, compatibility of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and stress relief of young people in urban parks on the basis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landscape design. Focusing on the youth group, the surveys were conducted at Busan Citizen Park and Yongdusan Park in Korea, and Yandu Park and Chinese Crabapple Blossom Park in Yancheng City, China. Finally, 365 valid questionnaire data were obtained. SPSS23.0 software has been used fo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in urban parks, young people s sense of being away, extent, fascination and compatibility of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tress relief, showing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In addition, judging from the size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it is shown in the order of compatibility, being away, fascination, and extent, which has a great impact on the restorative environment.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a better design suggestions for urban park landscapes. When designing urban park landscapes for young people, compatibility, being away and fascination should be put on the first place, extent should be further improved and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of young people should be improved and creating an urban park landscape that is beneficial to the stress relief of young people. This research can not only promote the development of urban park landscapes design, but also provide a theoretical reference for the relief of young people s stress, which has important research significance.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5. 결론 및 디자인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