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고령자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버스요금 무료화 손실규모 추정 연구

A Loss Estimation of Free Bus Fares to Improve Settlement Conditions for Elderly: A Case Study in Chungcheongnam-do

  • 15
156256.jpg

본 연구는 버스요금 무료화 정책 도입에 따른 고령자의 통행행태 변화를 분석하고, 선호의식조사를 활용한 버스요금 무료화 정책의 손실규모 산정 시 발생되는 과추정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을 제안하고 실증 분석을 통해 제안 방법론의 효용성을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을 통해, 버스요금 무료화 정책 도입에 따른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고령자의 주말 외출횟수는 평일의 외출횟수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많이 증가될 것이다. 둘째, 친교와 같은 새로운 목적통행이 증가될 것이다. 셋째, 개인차량 이용률이 감소됨에 따라 노인 교통사고 감소 및 버스 이용이 활성화 될 것이다. 넷째, 버스요금의 부담이 없어짐에 따라 일상적인 외출활동이 증대되어 지역사회의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와 같이 버스요금 무료화 정책은 충청남도 지역의 주거환경과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예견된다. 한편, 버스요금 무료화에 대한 손실규모 산정에 적용한 선호의식조사는 가상상황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는 것으로 과추정이 포함되므로 조사결과를 여과 없이 사용하는 경우 추정오류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과 같이 관련 사례의 실적치를 활용하여 과추정을 보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과추정 보정방법(현행화 방법)은 선호의식조사를 활용하는 다양한 연구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avel behavior of elderly under a free bus fare policy and proposed how to overcome the issue of Stated Preference Surveys overestimating the economic loss due to a free bus fare polic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with the introduction of a free bus fare policy, the number of weekend outings would increase compared to the number of weekday outings. Secondly, it is anticipated that new travel purposes would emerge, such as visiting friends. Thirdly, the dependence on bus transportation would be activated, while traffic accidents involving elderly and the utilization of personal transportation would decrease. Lastly, the increase in activities of elderly would positively affect the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expected that the living settlement conditions for elderly in Chungcheongnam-do would improve by introducing a free bus fare policy. Moreover, if we use the results of State Preference Surveys without filtration, it is impossible to overcome the overestimation issue. So, in order to get rid of this limitation of Stated Preference Surveys, reflecting the performance of relevant cases is recommended, such as by means of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차별성

Ⅲ. 자료수집 및 기초통계

Ⅳ. 실증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