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 시설 실내 마감재의 방염특성 및 연기밀도 비교에 관한 연구
On the Comparison of Flame Retardant Characteristics and Smoke Density of Indoor Wall Finishing Materials in Residential Facilities
- 한국주거환경학회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 住居環境 제19권 제1호 (통권 제51호)
-
2021.03119 - 126 (8 pages)
-
DOI : 10.22313/reik.2021.19.1.119
- 43

본 연구는 주거 시설의 건축물 내부 마감재인 일반합지, 폼블럭벽지, 방염/비방염의 실크벽지 및 방염/비방염의 인테리어 필름의 연소 증폭과 위험도 차이를 45도 연소시험기와 연기밀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화재의 특성과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일반합지와 폼블럭벽지는 방염성능이 전혀 없는 것으로서 전소되는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실크벽지와 인테리어 필름의 경우에는 방염/비방염제품에 따라 연소 및 연기밀도 특성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염제품의 경우에는 잔염과 잔진시간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연기밀도에는 비교적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방염제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넓은 면적의 탄화면적과 탄화길이를 갖는 것으로 파악되어 화재 측면에서는 취약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연기밀도는 방염제품에 대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주거 및 이용시설에 따라서 일반 주거시설에서는 연소확대 방지를 위한 방염성분이 있는 내부 마감재를 이용하는 것이 화재의 성상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며, 근린 시설과 같은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서는 화재 시 발생하는 유독가스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한 비방염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and risk difference of general wallpaper, foam block wallpaper, fireproof/non-fireproof silk wallpaper, and fireproof/non-fireproof interior film, which ar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of residential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45 degree combustion tester and the smoke density tester. These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General wallpaper and foam block wallpapers had no flame retardant perform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burning were identified. And in the case of silk wallpapers and interior film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bustion and smoke density characteristics differ from depending on the flame retardant/non-flame retardant products. In the case of flame retardant produc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little residual flame and residual time, but the smoke density was relatively high. However, in the case of non-flame retardant products, it was found to have a relatively large area of fire and carbonized length, so it was found to be vulnerable in terms of fire, and smoke density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flame retardant products. Therefore, depending on the housing and the facilities used, it is judged that the use of internal finishing materials with flame-retardant components to prevent the expansion of combustion in general residential facilities will be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 However, in places with a large floating population, such as neighborhood facilities,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result of using non-flame retardant products to reduce damage caused by smoke.
Ⅰ. 서 론
Ⅱ. 실험방법
Ⅲ. 실험결과
Ⅳ. 결과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