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268.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연근무가 기혼 여성 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exible work on female workers’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interaction with working hours

  • 91

본 연구는 기혼 여성 관리자를 대상으로 유연근무의 활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여성관리자패널조사(KWMP)의 7차 조사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여성이 근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시간빈곤으로 인해 일-가정 양립에 갈등을 겪는다는 논의의 측면에서 유연근무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여성 관리자와 남성 관리자 모두 배우자의 직장에 대한 태도가 협조적일수록 만족도가 증가하였으며, 유연근무는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여성 관리자만이 양육에 대한 협조 태도가 높을수록 개인생활과 가족생활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 관리자에게 양육이 사적 영역과 관련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유연근무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항은 여성 관리자의 개인생활과 직업생활 만족도에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가족생활 만족도만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를 활용하지 않을 경우 근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가족생활 만족도가 감소한다. 때문에 근무시간이 길 경우 유연근무 활용집단은 비활용 집단보다 가족생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 한편 남성 관리자는 모든 유형의 만족도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리하면 배우자의 양육협조태도, 그리고 유연근무와 근무시간의 상호작용항이 여성 관리자의 가족생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유연근무가 제공하는 시공간의 유연성이 근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가족 내 시간빈곤이나 역할갈등의 감소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유연근무는 여성 관리자들의 가족생활 만족도를 유지하는 긍정적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가족에 대한 부담을 여성 관리자에게 집중시키는 부정적 기능 역시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flexible work on female worker’s life satisfaction by using the 7th survey of Korea Women Manager Panel Data. In particular, this study verifi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flexible work and working hours, in terms of the discussion what women face work-family conflict due to time poverty as overwork. As a result, In both male and female managers, satisfaction increased when spouses showed a cooperative attitude to the workplace, but flexible work did not affect satisfaction. For only female managers, parenting engagements encouraged the personal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parenting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related to the private area of female managers. On the other hand, interaction term between flexible work and working hours only increased family life satisfaction of female managers. When flexible work is not used, female managers’ family life satisfaction decreases as the working hours increase. Therefore, in working long hours, the group who uses flexible work shows higher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than the group who does not use it. Meanwhile, male managers did not have interaction effects on all types of satisfaction. In summary, the use of flexible work is related to the family life of female managers. The spouse’s parenting engagements and the interaction term had an important effect only on the female manager’s family lif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time and space flexibility provided by flexible work has led to a reduction in time poverty and role conflict within the family that occur as working hours increase. Flexible work has a positive function to maintain the female managers’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at the same time, it has a negative function to concentrate the burden on family to female managers.

I. 서 론

Ⅱ. 연구 배경

Ⅲ. 연구 질문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