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268.jpg
KCI등재 학술저널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력유형 연구

A Study on the Career Types of Baby Boomer Women

  • 183

이 연구는 베이비부머 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경력패턴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인구통계학적, 가정배경, 진입 및 결과특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더 나아가 경력유형별 노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격년 조사하는 여성가족패널(KLoWF)자료를 활용하였다. 경력 유형 분석에는 직업력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최적일치법과 군집분석을 통해 유형을 구분하였다. 또한 유형별 특성 중 인구통계학적, 가정배경, 진입특성 변인은 응답자가 패널에 최초 진입했던 차수의 응답값(1-4차), 결과변인은 응답자가 마지막으로 응답한 차수의 응답값(4-7차)을 활용하였고, 교차분석과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력중기 이후 경력 유형은 크게 안정적정규직종사자 유형, 비정규직전환종사자 유형, 무임금가족사업종사자 유형, 특수고용종사자 유형, 자영업종사자 유형의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각 유형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가족배경 특성, 진입특성, 결과특성은 상이하게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력이 노년생활까지 이어지는 중간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 of career of baby boomers women who have reached the period from the mid-career to the post-retirement period. It also compared and analyzed demographic, family background, entry and outcome characteristics by type, and further aimed at comparing perceptions of old age by type of career.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data administrated by the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and multichannel sequence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applied using R packag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ypes of career after the mid-term career of baby boomers were largely divided into five types: Stable full-time employee(type 1), Non-regular worker conversion employee(type 2), No-wage family business worker(type 3), Special employment worker(type 4), a self-employed worker(type 5).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entry characteristics, and outcom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differently for each typ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n important basis for understanding the mid-term career of baby boomer women and the mid-term career that extends to their old ag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