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268.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위직 여성공무원의 ‘유리절벽’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Glass Cliff’ Experience of High-Ranking Female Public Officials

  • 319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직사회에서 고위직 여성공무원의 ‘유리절벽’ 경험에 대하여 개인의 경험과 구술방식을 통해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유리절벽(Glass Cliff)’은 고위직 여성에게만 나타나는 미묘하면서 보이지 않는 차별의 기제로서, 여성들이 고위직에서 오래 버티지 못하고 사직하거나 퇴직하는 현상을 말한다. 기존에는 승진의 ‘유리천장’을 없애면 공공과 민간에서 성공한 여성이 많아지고, 양성이 평등한 직장사회가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공직사회의 경우, 고위직 여성비율은 오랜 세월동안 거의 제자리걸음이다. 본 연구는 여성공무원 고위직의 ‘유리절벽’ 현상을 우리나라 공직사회에 시론적으로 소개하고, 이 개념을 중앙부처 고위공무원단의 경우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고위공무원단의 전・현직 여성공무원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하였고, 유리절벽의 존재 가능성과 그 기제들을 탐색적으로 추론해 보았다. 유리절벽 발생의 주요 기제로는 고위직의 불균등한 성비구조, 성과계약 및 신분의 불안정성, 직무과중과 업무 스트레스, 조직의 편견과 고정관념 등이 이론적으로 논증되었다. 이러한 틀로써 연구를 진행한 결과, 고위공직에서 여성의 ‘유리절벽’ 가설이 새롭게 인식하고 개선해야 할 부정적 개념임이 어느 정도 밝혀졌다. 현 단계에서 일반화에는 조심스러웠지만, 유리절벽의 개념과 관련 기제들이 우리나라 공직 현실에서 완전히 없다고 단언키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결론에서는 공직의 인사와 성평등 문화연구 전반에 있어서 ‘유리절벽’이 앞으로 ‘유리천장’과 함께 중요한 주제로 고려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glass cliff’ experience of high-ranking female public officials in the Korean government through personal experience and interviews. The glass cliff is an invisible mechanism of discrimination in high-ranking women. It is defined as the phenomenon of women resigning and retiring from high-ranking positions at work. In fact, the proportion of women to high-ranking posts in the Korean government was very small, and this phenomenon has persisted for a long tim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public officials who worked or retired from senior executive service, and inferred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glass cliffs and their mechanism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glass cliff was the unequal gender structure of high-ranking posts, instability of performance contract and status, overwork and job stress, prejudice and stereotype of the organization. Qualitative research on these criteria has shown that glass cliff exist for high-ranking female public officials. The generalization of glass cliff theory in the Korean government is difficult, but this concept was not really abs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glass cliff should be considered an important topic in the study of the government’s personnel policy and gender equality culture.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논증

Ⅲ. 연구의 틀과 방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