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청전> 이본에 나타난 ‘심봉사 실족’ 화소의 변이 양상과 그 의미
The Transition and the meaning of motif on Shimbongsa s miss footing appeard in different version of <Shimcheongjeon>
- 경일남(Kyung Il-nam)
- 어문연구학회
- 어문연구
- 語文硏究 第106輯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2
- 75 - 97 (23 pages)
이 논문은 <심청전>의 이본에 나타나는 ‘심봉사 실족’ 화소의 변이 양상과 거기에 담긴 의미를 살핀 것이다. ‘심봉사 실족’ 화소는 귀가가 늦은 심청을 기다리던 심봉사가 심청을 찾아 나서다가 험지에 처하게 되는 일련의 사건으로 구성된 개별적 화소이다. 이 실족화소는 불가분의 인과 관계에 있는 기다림, 찾기, 추락이라는 세 개의 기초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소를 근간으로 하는 ‘심봉사 실족’ 화소의 기본 구조는 <심청전> 전승 초기에 단순하고 짤막한 형태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아진다. 이러한 기본 구조의 내용은 <심청전>의 전승 과정에서 확장되면서, 변이의 계통을 달리하는 두 유형의 실족화소를 만들어 놓았다. 탄식 유형의 실족화소는 기본 구조의 기다림 부분을 확장하여 심청을 기다리는 심봉사의 애절한 심정을 부각시킨 변이 형태로, ‘동냥박대’ 사설의 개입으로 인해 등장하였다. 심방 유형의 실족화소는 기본 구조의 찾기 부분을 확장하여 심봉사가 심청을 찾아다니는 긴박한 상황을 부각시킨 변이 형태이다. 장승상부인 대목이 <심청전>에 자리를 잡으면서, ‘심봉사 실족’ 화소는 기본 구조의 내용을 확장하는 탄식 유형이나 심방 유형의 변이 형태와는 전혀 다른 변형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장승상부인 대목이 실족화소의 앞에 위치하면서 심청의 늦은 귀가의 원인이 동냥이 아니라 장승상부인 집에서의 지체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심청전> 전승의 초기 단계에서 형성되어 지속적으로 유지되던 실족화소의 기본 구조가 지닌 내용과 성격이 탈바꿈되는 일대 변혁을 거치게 되었고, 이렇게 변형된 실족화소는 ‘심봉사 실족’ 화소의 후대적 전형으로 정착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ansition of motif on Shimbongsa s miss footing appeared in different version of <Shimcheongjeon> and the meaning in it. Shimbongsa s miss footing is an individual theme based on an accident that Shimbongsa who is waiting for Shimcheong, staying out late comes looking for her daughter and land in tough area. This miss footing is made up of three basic elements, wait , search and fall which are in inseparable relation. The basic structure of this miss footing with those elements is shown to be made in simple and brief form in the early of <Shimcheongjeon> transmission. As this content was extended during the transmission, it made two different types. The first is soupir type, which is focus on Shimbongsa s mournful feelings, expanding the waiting part. It is appeared as the intervention on editorial of begging poor treatment. The second is visit type that gives prominence to urgent situation looking for Shimcheong, extanding the search part. Shimbongsa s miss footing come to transform into completely different version with two different types above as a part of Jangseungsang s wife is accepted in <Shimcheongjeon>. Because the reason of Shimcheong s coming home late is changed from begging to delay at Jangseungsang s home as part of Jangseungsang s wife is arranged anterior to the miss footing. It triggered the miss footing to be revoloutionized in basic structure and character also. This deformed miss footing is established as a new type presented in the late of <Shimcheongjeon> s transmission.
1. 머리말
2. ‘심봉사 실족’ 화소의 기본 구조
3. ‘심봉사 실족’ 화소의 확장
4. ‘심봉사 실족’ 화소의 변형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