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원산지 국가이미지와 와인 이미지, 재구매 의도 간에는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와인 이미지와 재구매 의도 간에는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또한 원산지 국가이미지와 재구매 의도와의 사이에 와인 관여도가 어떠한 조절 효과가 있는지 파악하였다. 첫째, 원산지 국가이미지와 와인 이미지의 영향은 정치·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 모두 다 와인 이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산지 국가이미지와 재구매 의도의 영향은 정치·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 모두 재구매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와인 이미지와 재구매 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와인관여도가 원산지 국가이미지와 재구매 의도에 간에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와인관여도가 문화적 요인과 재구매 의도 간에 유의적인 조절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country of origin, the image of the wine, and the intention to repurchase, the influence between the image of the wine and the intention to repurchas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wine involvement between the image of the country of origin and the intention to repurchase.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image of the country of origin and the image of win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mage of wine in all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country of origin and repurchase inten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in all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Third, it was found that wine image and repurchase inten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wine involvement between the image of the country of origin and the intention to repurchase,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cultural factor and repurchase inten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