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은 지구환경에 장기적으로 커다란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 세계의 국가 및 지역에서 기후변화의 원인인 GHG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힘쓰고 있다. 환경의 개선. 금융산업의 발전, 경제성장을 함께 추구하는 녹색금융은 2015년 파리협정의 체결과 코로나19로 인해 더욱 주목받게 되었는데, 한국이 속한 아시아 지역은 녹색금융의 활성화를 꾀하고 있으며 녹색투자에 대한 수요 또한 매우 높다. 본 연구는 문헌 및 사례연구를 활용해 아시아 지역의 녹색금융 및 녹색투자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아시아 지역의 녹색금융은 확산일로를 걷고 있었으며 녹색투자 또한 국가에 따라 정도는 다르지만 대체로 증가하였다. 확산하는 녹색금융에 대응하고 원활한 녹색투자를 위해서는 정부의 배출량 삭감 계획에 맞추어 법규제를 정비하고 녹색금융의 대상을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환경규제의 강화와 기후변화 리스크의 금융규제에 대한 반영이 필요하며 기업의 정보공개에 환경적인 요인을 명시하고, 금융기관의 환경관련 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global warming incurs environmental risk, which triggers the countries keen to reduce GHG emissions that cause climate change. Green finance that aims to improve environment conditio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has drawn attention under the Paris Agreement and COVID-19 circumstance. Especially Asia shows the incremental stimulation of green finance as well as demand for green investment. This study employ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to explore the movement of green finance and investment.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green finance and investment have been extended and increased depending on the countries. The response for the proliferation of green finance includes the appropriate investment for green policy, regulating the legal limits based on government proposal, and clarifying the targets of green finance. Furthermore, adequate financial and environmental legislation,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organizations, and financial institution expertise are required in Asia.
Ⅰ. 서론
Ⅱ. 아시아의 녹색금융
Ⅲ. 아시아의 녹색투자
Ⅳ. 아시아 각국의 사례연구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