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환경상품의 무역구조와 수출경쟁력에 관한 연구 - APEC 리스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de Structures and Export Competitiveness of Chinese Environmental Goods Focusing on the Lists of APEC
본 논문은 ‘APEC 환경상품 리스트(2012)’를 바탕으로 먼저 2015-2019년 중국 환경상품의 국가별, 특성별, 품목별 무역구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제시장점유율(IMS), 현시비교우위지수(RCA), 무역경쟁력지수(TCI)를 중심으로 중국 환경상품의 수출경쟁력을 분석하였다. UN Comtrade 무역통계를 이용한 분석 결과, 중국은 개발대상국 대상으로 기술 수준이 낮은 저렴한 가격의 환경상품 수출 확대를 통해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점차 높여가고 있다. 반면 한국은 세계시장 및 중국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갈수록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중국은 환경 분야 선진국과의 정책 공조 및 기술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9년 “청천(맑은 하늘, 晴天)계획”을 체결한 한국이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다. 둘째, 중국은 환경상품의 무역자유화와 시장개방 확대가 필요하다. 선진국의 우수 환경기술 도입, 해외 직접투자 유치 등을 촉진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looked at the trade structure of China s environmental products over the 2015-2019 year using UN Comtrade trade statistics, which is based on the re-classification of 54 items in the APEC Environmental Product List (2012). In addition,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Chinese environmental products was analyzed based on International Market Share (IMS),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RCA), and the Trade Competitiveness Index (TCI). China is gradually increasing its share in the global market by expanding the export of low-cost environmental products with low technology levels to developing countries. On the other hand, Korea s share in the global market and the Chinese market is falling.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China should strengthen policy cooperation and technical cooperation with advanced countries in the environment sector. Korea could be a good partner, which signed the Cheongcheon (Clear Sky, 晴天) Plan in 2019. Second, China should expand market opening and promote trade liberalization in environmental products. it needs to promote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and attracting overseas direct investment.
Ⅰ. 서론
Ⅱ.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Ⅲ. 중국 환경상품의 무역구조
Ⅳ. 중국 환경상품의 수출경쟁력 분석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