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6275.jpg
KCI등재 학술저널

목회자 자녀인 음악치료사의 부모화 상처 치유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Auto-ethnography: The Process of Recovering from the Parentification Wound of a Pastor’s Kid as a Music Therapist

  • 250

목회자 자녀, 음악치료사본 연구는 목회자 자녀인 음악치료사의 부모화 상처 치유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목회자 자녀이자 부모화 상처를 지닌 음악치료사의 상처 치유과정을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그 결과 ‘제한된 표현’, ‘억압된 감정’, ‘과도한 책임감’이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화된 연구자의 모습이 감정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 어려움으로 발현되어 가족 내에서 의사소통의 문제로 이어지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자신보다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형태로 책임감이 나타났다. 음악치료사의 정체성에서는 ‘부모화로 인한 역전이’와 ‘역할의 충돌’이 나타났다. 이는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에 혼란을 일으켜 치료환경에서 부모화가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연구자가 자신의 부모화와 양육 상처를 통찰하며 자기 작업을 하였을 때 ‘상처의 직면과 수용’, ‘표현과 인식의 확장’, ‘치료사로서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목회자 자녀이자 부모화로 인한 상처를 지닌 음악치료사로서 경험한 치유의 과정을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와 유사한 경험을 지니고 있는 목회자 자녀들과 음악치료사에게 공감의 발판을 제공하고 치유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회복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또한 연구자와 비슷한 상황에 놓인 사람들이 보여주는 상처와 부모화된 모습들에 대한 한 사례로 제시한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부모화, 상처, 치유, 자문화기술지

This study aims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arentification wound recovery process of a music therapist who is a parentified kid of a pastor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and explored the parentification wound recovery process of a wounded music therapist, who was also a parentified kid of a pastor’. using the research technique of auto-ethnograph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reserch participant displayed the characteristics of restricted expression, oppressed emotions, and excessive sense of responsibility. The author’s sense of identity revealed signs of counter-transference caused by parentification and conflict of roles. This means the author experienced identity confusion and parentification occurred in the therapy environments. Moreover, when the author dedicated herself to the self-work of penetrating into her own wounds and parentification, she was able to confront and embrace her own wounds, expand her expression and perception, and grow further as a therapist. This studyexplored in details the process of the recovery of a wounded music therapist as a parentified kid of a pastor. This study carries specific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lays the foundation for recovery by providing the basis of empathy and sharing the experience of recovery to the kids of other pastor’s kids pastors and music therapists who had similar experiences with the author. This has additional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serves as a case study on wounds and states of parentification to of the individuals in a similar situation with the author by sharing the process of recovery of a wounded music therapist who is a parentified kid of a pastor’.

I. 들어가며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나가며

참고문헌

로딩중